‘1조 달러’ 아마존

‘1조 달러’ 아마존

김규환 기자
입력 2018-09-05 22:40
업데이트 2018-09-05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총, 장중 돌파… 애플 이어 두 번째
‘마켓 플레이스’ 전략이 성장 이끌어
‘유통 공룡’ 아마존의 시가총액이 장중 한때 1조 달러(약 1120조원)를 돌파하면서 ‘시총 1조 클럽’ 가입을 예약했다. 애플에 이어 두 번째다. 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아마존은 장중 1.84% 오른 2050.50달러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해 시총 규모 1조 달러를 넘어섰다. 장이 끝날 무렵 단기 차익을 노린 매도세가 들어오는 바람에 주당 1.33% 오른 2039.51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시총도 1조 달러에 고작 50억 달러가 부족한 9950억 달러를 기록했다. 아마존의 시총은 월마트와 코스트코 홀세일, 홈디포, 나이키, 프록터앤드갬블, 크로거, 달러트리 등 7개 소매업체를 합한 것과 맞먹는 규모다.

아마존 시총이 지난 1월 6000억 달러에서 1조 달러로 늘어나는 데까지 걸린 기간은 겨우 8개월 정도(165거래일)였다. 1994년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의 차고에서 온라인 서점으로 출발한 아마존은 식료품과 패션, 정보기술(IT) 기기 등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 온라인 쇼핑몰로 탈바꿈한 효과를 톡톡히 봤다. 성장 전략은 다른 판매자들에게 물건을 판매할 수 있게 하는 마켓 플레이스다. 현재 아마존에서 전체 소매 판매 중 판매자들이 만들어낸 거래 비율은 68%로 매출은 1760억 달러를 차지했다.

지난해 미 유기농 마트 홀푸드마켓을 인수한 아마존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에도 진출해 회사의 주요 수익원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클라우드 사업 비중은 2분기 아마존 영업 이익의 55%, 매출액의 20%로 성장했다. 전자책 ‘킨들’과 ‘파이어TV’, 알렉사 기반 ‘에코’ 스피커 등 다양한 하드웨어 라인업도 갖추고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8-09-06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