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고전 번역 30년내 완성”

“한문고전 번역 30년내 완성”

입력 2010-02-17 00:00
업데이트 2010-02-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전번역원, 권역별 거점 연구소 협업으로

지금 추세라면 100년 이상 걸린다는 한국의 한문고전 번역을 한 세대 안에 끝내겠다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번역원)은 약 4000책에 달하는 미번역 한문고전(주로 문집)을 30년 안에 마무리짓겠다는 청사진을 11일 제시했다. 고전 번역은 본격적인 번역에 앞서 원문의 오류를 바로잡아 정본을 확정하고, 끊어 읽기가 없는 한문의 의미를 구분할 수 있도록 마침표를 찍거나 인명, 지명 등을 기호로 표시해야 하는 등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이 때문에 개인 문집 등 일반고전의 경우 연간 20책가량 번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대로라면 고전 번역을 완성하는 데 100년이 훨씬 넘게 걸린다.

번역원이 발표한 고전번역 프로젝트의 핵심은 ‘권역별 거점 연구소 협동번역사업’이다. 고전번역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 전국 각 지역의 번역 거점 연구소를 선정한 뒤 지역 원로 한학자, 고전 관련 학과 등과 연계해 번역 작업을 벌인다는 구상이다.

번역원은 우선 전국을 수도권과 중부권(강원·충청), 영남권, 호남권(제주 포함)의 4개 권역으로 나눈다. 1차 연도인 올해는 21억원을 들여 전국의 중형 연구소 6곳과 소형 연구소 4곳을 선정해 번역서 48책을 펴낼 계획이다. 예산과 지원 규모 또한 점차 늘려 2012년부터는 20개 거점 연구소에서 140명의 고전 번역 인력을 확보해 연간 120책의 번역 성과를 낼 예정이다. 번역원은 원전 정리가 이뤄진 ‘한국문집총간’에 수록된 개인 문집 가운데 번역되지 않은 문집 312종을 중심으로 번역을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개인 문집에다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 국고 문헌(국가기록물)까지 더한다 해도 한국의 주요 한문고전은 30년 안에 번역될 수 있다는 것이 번역원 측 설명이다. 한문희 번역원 기획사업팀장은 “개인 문집은 실록보다 대단하다. 굉장히 다양한 이야기가 있다.”면서 “번역이 되면 문화계 종사자들이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많이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번역원은 번역이 끝날 때마다 평가와 검증 작업을 거쳐 책을 출간한다. 또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해 일반인이 무료로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번역원은 새 달 초까지 사업 신청을 받아 4월 초 대상 연구소를 확정한다.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0-02-17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