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현판 글씨 공청회라도 열 것”

“광화문 현판 글씨 공청회라도 열 것”

입력 2011-02-17 00:00
업데이트 2011-02-17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화문 현판 글씨체 논란이 공론에 부쳐진다. 4대강 공사로 훼손 논란이 일고 있는 마애불에 대해서는 상세한 발굴조사가 진행된다.

이미지 확대
16일 서울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최광식 문화재청장이 광화문 현판과 마애불 훼손 등 현안에 관해 견해를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서울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최광식 문화재청장이 광화문 현판과 마애불 훼손 등 현안에 관해 견해를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최광식 신임 문화재청장은 16일 서울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최 청장은 “(광화문 현판 글씨를 둘러싸고 주장이 너무 엇갈려) 공청회를 열어 각계 의견을 수렴해 보는 방법을 생각 중”이라면서 “최종 결정은 지난달 출범한 ‘광화문 현판 제작위원회’가 하겠지만, 결정 이전에 각각 다른 주장을 갖고 있는 분들을 한데 모이게 해서 모든 의견을 들어 보는 게 좋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의미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런 뜻까지는 아니고 충분히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답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필 한글 글씨가 걸려 있던 광화문 현판은 노무현 정권 때인 2005년 고종 중건(重建) 당시 모습으로 복원한다는 원칙 아래 중건 책임자였던 임태영 훈련대장의 한자 글씨를 디지털로 복원했다. 이 결정에 따라 지난해 8월 15일 새 현판이 내걸렸으나 두 달 만에 균열이 발생해 새로 제작하기로 했다.

이를 계기로 한글 시대에 걸맞게 훈민정음체로 쓴 한글 현판을 달아야 한다는 한글단체의 주장과 글자 자체의 멋을 위해 조선 시대 명필의 글을 집자(集字)하거나 현존 최고의 서예가에게 새롭게 의뢰해야 한다는 주장, 아무리 글자체가 못마땅하더라도 ‘복원’ 사업의 일환이기 때문에 2005년 결정 때처럼 하는 게 옳다는 주장 등이 다시 난립했다. 지금도 팽팽하게 맞서 있는 상태다.

최 청장은 경북 의성군 낙단보 주변의 마애불 훼손 사건과 관련해서는 “소중한 문화재가 훼손된 채 발견된 것, 경위야 어찌됐든 더 잘 챙기지 못한 것은 유감”이라면서 “불교계의 요구를 받아들여 일제시대 지도를 비롯, 1960년대 항공사진 등을 입수해 현장에 대한 면밀한 검토 작업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조계종 산하 불교문화재연구소 등 전문기관도 참여시킬 방침이다.

앞서 조계종은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 “훼손된 채 발견된 마애불의 50m 이내에 제2의 마애불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데도 정부가 이를 축소, 은폐하려 든다.”고 주장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2-17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