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리뷰] ‘해님지고 달님안고’

[연극리뷰] ‘해님지고 달님안고’

입력 2011-02-28 00:00
업데이트 2011-02-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지의 세상에 대한 집착 박성연 신들린 연기 찬사

꿈인지 현실인지 경계가 애매하다. 경계에서 빚어지는 혼란스러운 장면들은 다소 난해하다. ‘쉬운 것도 어렵게 풀어낸다.’는 작가 동이향의 작품답다.

이미지 확대
딸 역의 박성연(왼쪽)과 아버지 역의 오달수.
딸 역의 박성연(왼쪽)과 아버지 역의 오달수.
27일 막을 내린 연극 ‘해님지고 달님안고’는 ‘소설가 구보씨의 1일’ 등을 통해 솜씨를 인정받은 성기웅 연출의 작품이다. 2007년 국립극장 창작극 공모에서 뽑힌 동이향 작가의 극본을 무대로 옮겼다.

도깨비 늪 주변에 황 노인과 딸 아이가 살고 있다. 에미는 일찌감치 도망갔다. 황 노인은 아이마저 떠날까 노심초사한다. 어린 아이는 늘 보고 싶어한다. 가보지 않은 곳, 그리고 보이지 않는 저 재 너머 세상의 모습을 말이다. 보이지 않은 먼 곳을 그리워하는 딸 아이에게 아버지는 집요하게 집착한다. 아이가 자신만 바라보길 원하는데 집 나간 마누라처럼 자꾸만 딴 곳을 보니 애가 탈 수밖에 없다. 집착은 아이를 줄에 묶어 감시하는 기행으로 이어진다. 재 너머 세상이 궁금한 아이는 틈만 나면 아버지의 눈을 피해 도깨비 늪으로 간다. 물론 번번이 잡혀오지만. 아이를 놓지 않으려는 황 노인과 세상으로 나가려는 아이 사이에 끈끈한 애증이 거미줄을 치고 있다. 어느 월식날, 아이는 앞이 보이지 않는다. 눈을 내놓으라고 소리치다 아버지의 목을 조른다. 아이는 재 너머 도깨비 늪으로 향한다. 도깨비들을 만나고, 소박맞은 과부에게 넘겨지면서 세상을 알아 간다. 아이는 도깨비 방망이로 아이를 숱하게 만들어내는 과부와 지내며 아버지의 마음과 죽음에 대해 조금씩 알아 간다.

대사가 압권이다. 시 그 자체다. 흥얼흥얼 노래하듯 내뱉는 황 노인 역의 오달수, 30대임에도 불구하고 아이 역에 철저히 빙의된 박성연, 그리고 도깨비와 과부의 대사에 귀 기울이면 말이 아니라 그들의 심정이 그대로 느껴진다.

영화 쪽에서도 이미 이름을 떨친 연기파 배우 오달수를 보러 왔던 관객은 박성연의 신들린 듯한 연기에 적잖이 놀란다. 아이처럼 칭얼대고, 순수한 눈빛을 지닌 채 엉엉 울어댈 때는 그야말로 산골 소녀 자체다. 극의 80% 이상을 그녀가 이끌어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황 노인의 목을 조르며 “귀찮도록 무서운 아부지. 아부지는 어려지고 나는 늙어지고. 아부지는 나하고 나는 아부지 되고. 우리 그렇게 섞이자. 내가 죽어 다 갚을게.”라고 중얼거리며 반쯤 정신 나간 연기를 보여주는 그녀는 그야말로 일품이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2-28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