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삶에 맞는 공간배치 한옥의 진화는 어디까지?

현대 삶에 맞는 공간배치 한옥의 진화는 어디까지?

입력 2012-03-24 00:00
업데이트 2012-03-24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컨템퍼러리 한옥’展 김해서

한옥의 참맛을 볼 수 있는 전시가 하나 더 있다. 8월 26일까지 경남 김해시 송정리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돔하우스에서 열리는 ‘컨템퍼러리 한옥, 현대도시에서 함께 살다’전이다. 한옥은 전통적인 삶의 양식이 묻어 있는 형태다. 현대화가 몰고 온 아파트 바람에 지금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한옥이 요즘 다시 각광받고 있다. 그렇다고 과거의 모습으로 되돌아갈 수는 없다. 현대 생활공간과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자리다.
김종헌 건축가의 ‘홈오피스 21’. 안채를 거주 공간으로, 사랑채는 업무 공간으로 분할해 한옥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타진한다.
김종헌 건축가의 ‘홈오피스 21’. 안채를 거주 공간으로, 사랑채는 업무 공간으로 분할해 한옥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타진한다.


조정구 건축가는 서울 가회동에 지은 여러 채의 살림집과 국내 최초 한옥 호텔인 경주 라궁의 축소 모형 등을 선보인다. 현대적 삶에 맞는 공간 구성과 배치에 대해 보여준다. 김종헌 건축가는 한옥에다 아예 재택근무를 접합시켰다. 안채는 주거 공간으로, 사랑채는 사무 공간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동선과 공간 배치는 어떠해야 하는지 보여준다. 황두진 건축가는 서울 통인동에서 볼 수 있는 통인시장 입구, 무지개떡 개념을 담은 한옥 등을 통해 한옥의 진화가 어디까지 이뤄질 수 있는지 가능성의 한계를 탐색해본다.

사진과 설치작품도 있다. 건축 사진을 집중적으로 선보인 사진작가 윤준환의 ‘경남 한옥’은 한옥의 공간을 고스란히 담아냈다. 백승호 작가는 ‘종합차원 탑’과 ‘종합차원-물체와 그림자’ ‘종합차원-부유하는 건축’ 등 입체와 평면을 오가는 설치작품을 선보인다. (055)340-70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3-24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