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 한·일 국민들 공감이 중요”

“위안부 문제, 한·일 국민들 공감이 중요”

입력 2012-09-13 00:00
업데이트 2012-09-1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DMZ 국제다큐영화제 ‘그리고 싶은 것’ 권효 감독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려면 서로 간의 소통과 공감에서 실마리를 풀어야 하지 않을까요.” 제4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그리고 싶은 것’을 출품한 권효(32) 감독은 한·일 양국뿐 아니라 양국 국민 간 공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권효 감독
권효 감독
다큐멘터리 ‘그리고 싶은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다룬 평화 그림책 ‘꽃할머니’를 만드는 과정에서 작가 권윤덕씨가 겪는 고뇌와 난관을 그린 작품이다. ‘꽃할머니’는 2006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계기로 한·중·일 작가들이 함께 모여 펴내기로 한 평화 그림책 시리즈 중 하나로 권 작가는 위안부 피해자인 심윤덕 할머니의 사연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그리고자 했다.

2008년 다큐멘터리 제작을 시작했을 때만 해도 권 감독은 ‘위안부 문제를 그림책으로 만드는 훌륭한 사람들’이라는 단순한 시각에서 접근했다. 그러나 그림책 제작이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히면서 다큐멘터리 역시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권 작가는 그림책 작업을 위해 위안부 증언록을 읽고 직접 피해 할머니들을 찾아가 이야기를 들었다. 이 과정에서 권 작가는 어느새 커져 버린 분노와 작가로서 견지해야 할 대상과의 거리 두기 사이에서 중심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털어놨다. 여기에다 위안부에 대한 문제 의식의 범주를 군국주의와 여성 문제로까지 넓히려던 그와 달리 극우 세력의 소송을 우려한 일본 측 출판사가 심 할머니의 개인사 위주로 서술해 줄 것을 요청한 것도 뜻밖의 난관이었다.

권 감독은 “일본 우익뿐 아니라 함께 평화를 주창하는 사람들 간에도 생각의 차이가 존재했다.”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현재와 미래 세대가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중요하다는 점을 담아내고 싶었다.”고 밝혔다.

한양대 사학과를 졸업한 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을 마친 권 감독은 “한때 역사학자를 꿈꿨던 사학도로서 가진 부채 의식이 어느 정도 작용한 것 같다.”며 위안부 문제를 다큐멘터리 소재로 택한 배경을 설명했다.

권 감독은 “일본 재일교포 민족학교에서 열린 낭독회에서 어린이들이 보인 높은 관심을 잊지 못한다.”면서 “어린이들이 책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우려했던 어른들의 시각이 잘못이었음을 알았다.”고 돌이켰다. 그는 “어려서 위안부 문제를 한번이라도 접했던 이들과 그렇지 못한 이들 사이에는 큰 괴리가 있을 것”이라며 “이번 다큐멘터리가 이들의 거리를 좁히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2-09-13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