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사 고려 절 아니다

월남사 고려 절 아니다

입력 2012-12-05 00:00
업데이트 2012-12-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진 절터에서 백제 와당 발견… “왕궁·절에만 써… 백제 사찰”

전남 강진 월남사(月南寺) 터에서 백제시대 와당(추녀 끝을 덮는 기와)이 발견됐다. 이는 월남사가 고려시대 진각국사 혜심(1178~1234)에 의해 창건됐다고 알려진 것과 달리 백제시대에 창건됐음을 보여주는 물증이다. 또한 보물 제298호인 3층 석탑의 건립 시기를 두고 백제, 후백제, 고려 중기 등으로 다양하게 검토됐으나 이번 백제 와당의 발견으로 백제 건립설에 힘이 실리게 됐다.

이미지 확대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민족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 8월부터 강진군의 의뢰를 받아 절터를 정비하던 중 월출산 남쪽 산자락에서 월남사 터를 발굴, 조사해 와당과 평기와를 비롯한 백제시대 기와를 확보했다고 4일 밝혔다. 조사단 한성욱 원장은 “이번 조사 결과 6~7세기 무렵 백제시대 때 제작했을 와당을 비롯한 기와를 다수 수습했다.”면서 “당시 건축 사정을 고려할 때 와당을 쓴 건물은 왕궁을 제외하고는 사찰밖에 없으므로 이는 이곳에 백제시대 사찰이 있었다는 적극적인 증거”라고 말했다.

백제는 불교국가로 알려졌지만 막상 옛 도읍인 공주나 부여, 제2의 수도로 평가되는 익산 등지의 중앙을 제외한 지방에서는 그 시대 사찰이 거의 보고된 바 없다. 더구나 전남 지역에서는 백제 사찰의 흔적조차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 이르면 6세기로 올라가는 백제시대 사찰이 강진에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백제의 통치 지역이 6세기 무렵에는 마한 땅이었던 전남 지역으로까지 확대됐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번 발굴 조사에서는 높이 23㎝에 이르는 초대형 고려시대 금동 풍탁(風鐸·풍경)도 발굴됐다. 석탑이나 건물의 처마 끝에 매달아 사용한 풍탁 중에서 높이 20㎝ 이상 되는 것으로는 익산 미륵사터와 경주 감은사·황룡사 터, 안압지 출토품 등이 있지만 출토 사례가 극히 드물다. 나아가 고려시대 풍탁으로 이만한 크기의 유물은 거창 천덕사 터와 단양 일명사 터에서 1점씩 출토됐을 뿐이다. 또한 이번 발굴 조사에서 나온 돌로 만든 차(茶) 맷돌은 당시 사찰에서 직접 차를 만들어 마셨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풀이된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12-05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