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리뷰] 뮤지컬 ‘여신님이 보고 계셔’

[공연리뷰] 뮤지컬 ‘여신님이 보고 계셔’

입력 2013-02-04 00:00
업데이트 2013-02-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전쟁 속 남북한 군인들의 ‘여신 놀이’

6·25전쟁통에 남북 병사가 맞닥뜨린 상황이라면 대부분 이야기는 이렇게 흐른다. ‘위기 속에서 투닥거리던 이들은 어려움을 함께 헤쳐 나가면서 결국 우리는 한가족, 피를 나눈 형제였음을 깨닫게 된다.’ 이런 설정도 들어간다. ‘저는 군에 입대하기 전에’로 시작하는 고백. 창작뮤지컬 ‘여신님이 보고 계셔’(박소영 연출, 한정석 극)도 이런 뻔한 플롯을 가지고 간다. 그런데 뻔하지 않게 풀어낸 매력이 있다. 전쟁의 비극을 유쾌하고도 감동적으로 그려낸 대목은 영화 ‘웰컴투동막골’이나 ‘인생은 아름다워’를 떠올릴 수도 있겠다.

이미지 확대
하지만 그것은 잠시뿐. ’여신님이’는 작품 속으로 빠져들어 웃다가, 울다가, 가슴 졸이는 등의 온갖 감정이 범벅되는 120분을 만들어 낸다.

극의 배경은 전쟁이 한창인 1952년 4월. 국군 대위 영범(이준혁)에게 북한군 포로를 거제도로 이송하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가뜩이나 가기 싫은데 포로들 분위기도 이상하다. 눈빛이 심상치 않은 북한군 간부 창섭(임철수), 정신이 온전치 않은 순호(윤소호), 속을 알 수 없는 동현(지혜근)과 눈치 없는 주화(주민진)까지. 설상가상으로 풍랑을 만나 배가 뒤집히고 영범과 국군 병사 석구(최성원), 북한군 포로 넷이 무인도에 고립된다. 수적으로나 힘으로나 전세 역전. 이곳에서 살아나가는 방법은 배를 수리하는 것뿐인데 유일하게 배를 고칠 줄 아는 순호는 정신이 오락가락한다.

영범이 딸을 그리워하며 만든 환상에 순호가 호기심을 보이면서 급기야 여신이 탄생했다. 순호는 여신의 마음에 들기 위해, 또 북한군과 국군은 순호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 ‘여신 놀이’를 시작한다. 북한군과 국군이 긴박하게 대립하다가도 순호의 말에 따라 언어를 순화하고 폭력적인 남자는 부드러워지는가 하면 무덤덤한 남자는 마음을 연다. 여섯 남자가 율동을 섞어 가며 부르는 ‘그대가 보시기에’는 경쾌하지만 “다가올 시련 앞에 맞서 이겨낼 수 있게…내게로 와요. 잠들어요”라는 여신의 노래에는 마음이 짠해진다.

여섯 남자에게는 가상의 존재였던 여신(이지숙)이 극 중에서 짝사랑 누나, 여동생, 그리운 어머니가 되면서 전쟁의 상처를 전한다. 영범 역에는 최호중·이준혁, 순호 역에는 신성민·전성우·윤소호가 번갈아 나온다.

3월 10일까지 서울 중구 흥인동 충무아트홀 소극장 블루. 4만 5000원. (02)744-7090.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2-04 2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