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난 척, 자조해도 예술이 되니… 거참 신통방통

잘난 척, 자조해도 예술이 되니… 거참 신통방통

입력 2013-02-13 00:00
업데이트 2013-0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남준아트센터 ‘끈질긴 후렴’ ‘부드러운 교란’ 기획·상설展

#1. 유화 하나가 걸려 있다. 하얀 벽면에 네모난 틀, 딱 떨어지는 조명까지. 일반적인 미술관의 FM에 맞춰 전시된 그림이다. 들여다보면 추상화다. 노란색과 갈색 느낌이 강한 색들이 한 방향으로 쭉 그려져 있다. 제목을 보니 ‘노란 비명’. 이건 뭘까. 그 옆에 있는 공간에 들어서면 이 작품의 제작 과정 동영상이 있다. 제목이 노란 비명인 이유가 확연히 드러난다. 화가(실제로는 배우)가 근엄하게 ‘썰’을 풀어대면서 붓을 물감에 담가 찍은 뒤 캔버스에 굵은 선 하나 쭉 그리면서 붓 움직임에 맞춰 “아악~!” 고함을 지른다. 그래서 노란 비명이다. 누군가 머리를 뒤에서 잡아당겼을 때 나는 비명, 어두운 방 안에서 무릎을 부딪쳤을 때 나는 비명 등이 다양하게 그려진다. 김범, ‘노란 비명’과 ‘노란비명 그리기’, 2012년.

이미지 확대
김범의 ‘노란비명 그리기’.
김범의 ‘노란비명 그리기’.
#2. 외부인을 집으로 초대해 대접하는 식사 자리. 먹고살기 바빴던 압축성장 때문에 우리는 비교적 드러내지 않지만, 영화에서는 안온한 중산층을 드러내는 미장센으로 많이 쓰인다. 취향과 교양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취향과 교양이란 놈은 언제나 그렇듯 노출증 환자다. 이걸 애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해 tvN 롤러코스터의 ‘남녀탐구생활’풍 내레이션으로 풀어냈다. “집주인으로서, 언제나 손님을 잘 파악하고 손님끼리 잘 어울리도록 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관심사를 공유하고 지위가 같은 사람만 불러야 할까요? 이 또한 똑같이 현명하지 않은 처사입니다. 기자나 의사, 세무관 세 명이 저녁 내내 일 이야기만 한다면 다른 손님들은 기분이 상하고, 사실 괴로워할 것입니다.” 아나 휴스만, ‘점심식사’, 2008년.

이미지 확대
아나 휴스만의 ‘점심식사’.
아나 휴스만의 ‘점심식사’.
#3. 전시공간에 들어서면 저쪽 벽에는 교회 안에 늘어선 사람들이 보인다. 반대쪽 벽엔 하나의 입술이 있다. 이 입술이 질문한다. “평상시 또는 전쟁 때 전쟁범죄, 인간성에 반하는 범죄 혹은 학살에 관여했거나 관여했다고 의심받은 적이 있습니까?” “어떤 수단과 매체를 통해, 테러리스트의 폭력을 정당화하거나 찬양하는 관점을 피력한 적이 있습니까?” “예”라고 대답하는 게 진짜 테러다 싶을 질문들이다. 이 입술 건너편에 서 있는 동유럽풍 공간 속 사람들은 경건하게 “아니오”를 외친다. 입술은 목사의 설교 투로 질문하고, 사람들은 신도들이 ‘아멘’을 복창하듯 답한다. 나디아 카비-린케, ‘아니오’, 2012년.

지켜보고 있노라면 크하하 웃음이 터져나온다. 오는 6월 16일까지 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열리는 기획전 ‘끈질긴 후렴’(Tireless Refrain)에 나온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은 모두 ‘문턱’ 혹은 ‘의례’에 대한 얘기다. 예술에도 문턱와 의례의 문제는 고스란히 적용된다. 미술, 디자인, 건축? 그거 안 좋아할 사람 어디 있던가. 예쁘고 멋지고 폼 난다는데 그거 마다할 사람 어디 있던가. 그런데 어디서부터가 예술인가. 같은 붓질을 해도 어느 대학 미대를 졸업했는지, 혹은 미국 영국의 내노라하는 곳에 유학을 갔는지, 아니면 해외 어느 유명한 갤러리에서 작품을 샀는지 기타 등등, 그때부터 예술이요 영감이요 천재던가.

이 답은 함께 진행되는 상설전 ‘부드러운 교란’(Gentle Disturbance)전에 담겨 있다. 젊은 시절 쇤베르크에 심취해 음악에 대해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던 백남준의 행적이 주로 전시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눈길을 끄는 것은 백남준의 친구이자 설치예술가였던 크리스토의 인터뷰 영상이다. 여기서 크리스토는 예술가란 기존 자본주의적 행태에 일침을 가하지만 결국 자본주의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을 한다. 그러니까 예술가도 땅을 임대하고 엔지니어들을 동원해 작품을 제작하는 일종의 비영리 기업을 운영하는 사업가라는 얘기다.

자본주의의 괴력이란 자본주의를 비아냥대는 전위적 힘마저 상품화하는 데 있지 않던가. 체 게바라가 티셔츠와 배지에 박혀 팔려나가듯 말이다. 거기서 나온 게 크리스토의 말이다. 예술가의 파격적인 그 무엇이란, 무지하게 거창한 게 아니니 그냥 ‘부드러운 교란’ 정도로만 불러두자고. 잘 걸어가다 발목 한번 삐끗하는 정도가 예술 아니겠느냐는 얘기다. 예술, 거참 신통방통하다. 목에다 힘주고 잘난 척해도 예술이 되고, 축 늘어져 자조해도 예술이 되니 말이다. 4000원. (031)201-8512.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2-13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