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의 법칙, 과장 있었지만 조작 아니다”

“정글의 법칙, 과장 있었지만 조작 아니다”

입력 2013-02-14 00:00
업데이트 2013-02-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BS 제작진 밝혀

이미지 확대
한 네티즌이 SBS ‘정글의 법칙’의 조작 사례라고 주장한 증거 사진들. “마을이 생긴 이래 처음 외부인이 왔다”는 말말족 사내의 인터뷰(왼쪽)와 달리 이 부족이 백인 여성 관광객과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오른쪽)도 함께 제시됐다.
한 네티즌이 SBS ‘정글의 법칙’의 조작 사례라고 주장한 증거 사진들. “마을이 생긴 이래 처음 외부인이 왔다”는 말말족 사내의 인터뷰(왼쪽)와 달리 이 부족이 백인 여성 관광객과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오른쪽)도 함께 제시됐다.
조작 논란에 휩싸인 SBS의 예능 프로그램 ‘정글의 법칙’ 제작진이 그동안 과장된 표현이 있었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없는 사실을 만들지는 않았다며 조작설은 거듭 부인했다.

이지원 PD는 13일 프로그램 게시판에 “병만족이 열악한 환경을 극복해 가는 모습을 극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일부 과장된 표현이 있었음을 겸허하게 인정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장에서 겪는 감정을 피부에 와 닿게 전달하려다 보니 이런 일이 생긴 것 같다”면서 “세간의 높아진 관심에 대한 압박이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제작자로서의 욕심도 있었다”고 털어놓았다.

나미비아 편과 바누아투 편, 마다가스카르 편, 뉴질랜드 편을 연출한 이 PD는 누리꾼들이 제기한 의혹을 반박했다. ‘마을이 생긴 이래 외부인은 처음’이라는 말말족 인터뷰가 조작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고립된 말말 가족을 소개받아 촬영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주장했다. 30분이면 통과가 가능한 관광코스로 알려진 밀레니엄 동굴을 위험하게 묘사한 부분과 관련, “다양한 상황을 보여 드리고자 제작진이 일부러 돌아가는 미션을 줬고, 동굴 통과의 어려움을 다소 과장해 표현했던 자막이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고 사과했다.

시베리아 편을 연출한 정준기 PD 역시 “더 재미있고 감동적인 장면을 선물하려고 사실을 더 화려하게 포장했고, 일부 상황을 진실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연출, 가공했다는 점은 인정한다”며 “전적으로 우리의 과오”라고 사과했다. 그러나 “절대 없는 사실을 있는 사실로 둔갑시키지 않았고 출연자들은 오지의 열악한 환경과 가혹한 조건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진심을 담아 촬영에 임했다”고 강조했다. 현지 유목민 네네츠족 촬영과 관련해서는 “네네츠족 체험 관광상품이 있다는 사실은 따로 확인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정글의 법칙’은 뉴질랜드 편에 참여한 배우 박보영의 소속사 대표가 페이스북에 ‘이게 뭐야! 드라마보다 더하는구먼’, ‘여행 가고 싶은 나라 골라서 호텔에서 밤새 맥주를 1000달러나 사서 마시고 이젠 아주 생맥주집 대놓고 밤마다 술 X먹네!’ 등 제작진을 비난하는 글을 올린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뉴질랜드 편 촬영을 마치고 귀국한 김병만은 11일 취재진과 만나 “관광 코스는 모든 사람이 쉽게 걸어갈 수 있는 길이지만 우리는 더 힘든 길을 선택해 간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거듭된 해명에도 누리꾼들은 ‘정글의 법칙’ 코스가 실제로는 관광 코스라는 의혹 등을 쏟아내며 의심을 거두지 않았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2-14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