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어루만지고 정서 통합 뜻도 담겨”

“국민 어루만지고 정서 통합 뜻도 담겨”

입력 2013-02-22 00:00
업데이트 2013-02-22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임운영위원장 수불 스님 문답

→‘한반도 평화대회’라는 타이틀에 걸맞지 않게 행사가 부산지역에 집중된 이유는.

-국립 서울현충원으로 옮겨지기까지 수년간 6·25 전쟁으로 숨진 군경들의 위패를 모시고 넋을 위로했던 범어사의 인연이 깊다. 행사가 부산에서 많이 열리지만 종단 전체의 관심이 크고 전국 불자들의 참여 의지가 확산되고 있어 기대된다.

→대회의 하이라이트인 9월 범어사 평화대법회가 해인사의 대장경축전 시기와 겹친다는 불만이 있는데.

-해인사 대장경축전도 몽골 침입에 따른 국난위기 극복의 불교적 정신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나라와 국민의 평화와 관련한 범국민적 행사라는 측면으로 본다면 평화대회의 부가적 상승효과가 더 클 것으로 본다.

→천도재, 수륙재 같은 종교적 방식에 치중하면 국민들과 공유하는 행사가 되긴 어렵지 않은가.

-천도재, 수륙재는 비단 해당자들만의 치유에 머물지 않는다. 다양한 방식으로 억울하게 희생된 영령을 치유해 국민들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정서의 통합을 이루자는 뜻이 담겼다.

→운영위원회가 밝힌 평화대회 예산 10억 5000만원은 충당할 수 있나. 종단 차원의 예산이 별로 책정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

-포교원에 많진 않지만 예산이 이미 책정됐다. 포교원 차원의 예산 지원 말고도 범어사와 부산지역 사찰이 5만 평화의 등 달기 등 기금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불자들과 관련기관의 관심이 갈수록 확산돼 대회 운영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10월로 예정된 기독교계의 부산 세계교회협의회(WCC) 총회를 의식한 행사라는 지적이 있다.

-불교계 평화대회와 WCC 총회는 별개의 행사다. 평화대회를 WCC 견제 차원에서 열리는 불교행사로 보는 시각은 위험하다. 외국인들이 한국의 정신문화를 배우고 간다면 부산불교계와 시민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환영할 것이다. WCC 행사 관계자가 범어사로 왔을 때 그런 의견을 이미 전달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평화대회 참석은 확정됐나

-지난해 유엔본부를 방문해 반 총장을 면담한 자리에서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확인했다. 반 총장의 일정이 허락하는 한 부산 범어사 대법회에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 법회에 동영상 메시지를 보내 한반도 평화의 의미를 강조하겠다는 약속이 있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02-22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