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민족지 대한매일신보 100여년 전 ‘역사적 원본’ 인터넷서 생생히 만난다

항일민족지 대한매일신보 100여년 전 ‘역사적 원본’ 인터넷서 생생히 만난다

입력 2013-02-25 00:00
업데이트 2013-02-25 0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디지털 복원 완료

서울신문의 모태로 100여년 전 최대의 항일 민족정론지였던 대한매일신보(등록문화재 제509호·1904년 7월 18일 창간) 원본이 디지털 공간에 옮겨졌다. 언제든 인터넷에 접속해 일제에 맞섰던 민족의 목소리와 정치·사회·문화 등 대한제국 시절 우리나라의 모습을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게 됐다.

디지털화 작업을 거쳐 복원된 대한매일신보 원본. 서울대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캡처
디지털화 작업을 거쳐 복원된 대한매일신보 원본.
서울대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캡처
서울대는 그동안 소장해 온 대한매일신보의 디지털 작업을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서울대가 소장한 방대한 고(古)신문 원본 가운데 디지털 복원 작업이 이뤄진 것은 대한매일신보가 처음이다.

서울대 중앙도서관은 지난해 9월 한국언론진흥재단, 국립고궁박물관과 함께 고신문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위한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이번 작업을 추진해 왔다. 서울대가 원문을 제공하고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예산을 댔다.

이번에 복원된 대한매일신보는 1905년 8월 11일자부터 1910년 8월 28일자까지 1461일분(호외 4호, 부록 13호 포함)으로 총 5838면에 이른다. 통상 신문은 전체 크기에 비해 종이의 두께가 얇고 질이 낮아 다른 고문서에 비해 복원이 훨씬 까다롭다. 서울대가 소장하고 있던 대한매일신보 역시 바싹 마른 낙엽처럼 잘못 손댔다가는 그대로 바스러질 만큼 열화가 심각하게 진행된 상태였다.

모두 5개월 이상 걸린 이번 작업에서 서울대 전문복원팀은 6000장에 육박하는 원본을 상하지 않도록 한장 한장 떼어 분리하는 데만 여러 달을 보냈다. 이렇게 분리된 신문은 전문 복원 업체의 사진 촬영과 이미지 보정 작업을 거쳐 이미지로 가공됐다. 이미지 상태로 복원됐지만 문자인식 기술을 통해 인터넷에서 본문 자체에 대한 직접 검색이 가능하다.

홍순영 서울대도서관 학술연구지원팀장은 “대한매일신보는 100년이 넘는 자료라 종이의 질이나 잉크의 상태가 취약해 고도의 예민함이 요구됐다”면서 “마이크로필름에 신문을 담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자료 접근성이 떨어지고 검색도 쉽지 않아 자료가 더 취약해지기 전에 디지털화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서울대는 디지털 복원과 별도로 상태가 극히 안 좋은 신문에 대해서는 물리적 수리를 거쳐 온·습도가 최적 상태로 유지되도록 오동나무 상자에 담아 고문헌 자료실에 영구 보관하기로 했다.

디지털 복원된 대한매일신보는 서울대도서관 홈페이지(library.snu.ac.kr),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www.kinds.or.kr) 등에서 원문 보기 및 기사 검색이 가능하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3-02-25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