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고’ 아카데미 작품상 등 3관왕

‘아르고’ 아카데미 작품상 등 3관왕

입력 2013-02-25 00:00
업데이트 2013-02-25 14: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안 감독, 두번째 감독상..’라이프 오브 파이’ 4관왕

벤 애플렉 감독의 ‘아르고’가 아카데미 작품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르고’는 24일 저녁(이하 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돌비극장에서 열린 제8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해 편집상, 각색상 등 3관왕에 올랐다.



25일(한국 시각) 열린 제8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르고’가 작품상을, ‘라이프 오브 파이’를 연출한 이안 감독이 감독상을 받았으며, 제니퍼 로렌스와 다니엘 데이 루이스가 남녀주연상을 받았다.(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영화 포스터, 채널CGV 제공
25일(한국 시각) 열린 제8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르고’가 작품상을, ‘라이프 오브 파이’를 연출한 이안 감독이 감독상을 받았으며, 제니퍼 로렌스와 다니엘 데이 루이스가 남녀주연상을 받았다.(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영화 포스터, 채널CGV 제공






스타 배우 출신인 벤 애플렉은 세 번째 연출작으로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아 할리우드에서 감독으로서 능력을 인정받았다.

대만 출신의 리안 감독은 3D 영화 ‘라이프 오브 파이’로 감독상을 거머쥐었다. 이로써 리안 감독은 2005년 ‘브로크백 마운틴’으로 아카데미에서 첫 감독상을 받은 데 이어 두 번째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받았다.

’라이프 오브 파이’는 이에 더해 촬영상, 음악상, 시각효과상 등 4관왕에 올랐다.

12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기대를 모은 ‘링컨’은 링컨을 열연한 다니엘 데이 루이스가 남우주연상을 받고 미술상을 더해 2관왕에 그쳤다.

각본상은 ‘장고: 분노의 추적자’ 각본을 쓰고 연출한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이 받았다. 또 이 영화에 출연한 크리스토퍼 왈츠는 남우조연상을 가져갔다.

뮤지컬 영화 ‘레미제라블’은 ‘판틴’ 역의 앤 해서웨이가 여우조연상을 받은 것을 비롯해 분장상, 음향상 등 3관왕을 했다.

앤 해서웨이는 ‘링컨’의 샐리 필드, ‘실버라이닝 플레이북’의 재키 위버, ‘세션: 이 남자가 사랑하는 법’의 헬렌 헌트, ‘더 마스터’의 에이미 애덤스 등 쟁쟁한 여배우들을 물리치고 여우조연상을 거머쥐었다. 해서웨이는 지난달 골든글로브 여우조연상, 미국 배우조합상 여우조연상에 이어 아카데미까지 미국의 주요 영화 시상식을 모두 휩쓸었다.

여우주연상은 ‘실버라이닝 플레이북’의 제니퍼 로런스가 가져갔다.

외국어영화상은 지난해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미하엘 하네케 감독의 ‘아무르’가 받았다.

장편 애니메이션상은 디즈니 픽사 스튜디오의 ‘메리다와 마법의 숲’이 받았다.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에는 디즈니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인 이민규 감독이 ‘아담과 개’로 후보에 올라 한국인 최초 수상이 기대됐으나 아쉽게 불발됐다. 존 커스 감독의 ‘페이퍼맨’이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에는 ‘링컨’이 12개 부문, ‘라이프 오브 파이’가 11개 부문, ‘레미제라블’과 ‘실버라이닝 플레이북’이 각각 8개 부문, ‘아르고’가 7개 부문 후보에 올라 여러 부문에서 치열한 다툼을 벌였다.

이날 시상식은 ‘19곰 테드’의 감독이자 배우, 코미디언, 성우로 유명한 세스 맥팔레인이 사회자로 나서 재치있는 입담으로 분위기를 띄웠다. 또 ‘007’ 시리즈 50주년을 기념하는 회고 무대가 본드걸을 연기한 배우 할리 베리의 소개로 꾸며졌다.

지난해까지 시상식이 열린 코닥극장이 최근 ‘돌비극장’으로 바뀌면서 올해 시상식은 ‘영화 속 음악’이란 테마로 여느 해에 비해 음악 공연이 많았다. 뮤지컬 영화 ‘레미제라블’의 휴 잭맨과 앤 해서웨이, 러셀 크로 등 배우들이 무대에 올라 ‘원 데이 모어’를 열창했고, ‘007 스카이폴’의 주제곡으로 주제가상을 받은 아델 역시 축하 공연으로 큰 박수를 받았다.

다음은 수상자(작) 목록

▲작품상= ‘아르고’

▲감독상= 리안 감독(’라이프 오브 파이’)

▲남우주연상= 다니엘 데이 루이스(’링컨’)

▲여우주연상= 제니퍼 로런스(’실버라이닝 플레이북’)

▲각본상= 쿠엔틴 타란티노(’장고: 분노의 추적자’)

▲여우조연상= 앤 해서웨이(’레미제라블’)

▲남우조연상= 크리스토프 왈츠(’장고: 분노의 추적자’)

▲외국어영화상= ‘아무르’

▲촬영상= ‘라이프 오브 파이’

▲편집상= ‘아르고’

▲각색상= ‘아르고’

▲미술상= ‘링컨’

▲음악상= ‘라이프 오브 파이’

▲주제가상= ‘007 스카이폴’(아델)

▲시각효과상= ‘라이프 오브 파이’

▲의상상= ‘안나 카레니나’

▲분장상= ‘레미제라블’

▲음향상= ‘레미제라블’

▲음향편집상= ‘제로 다크 서티’ ‘스카이폴’

▲장편 다큐멘터리상= ‘서칭 포 슈가맨’

▲장편 애니메이션상= ‘메리다와 마법의 숲’

▲단편 애니메이션상= ‘페이퍼맨’

▲단편 영화작품상= ‘커퓨’

▲단편 다큐멘터리상= ‘이노센테’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