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하다, 현대무용

궁금하다, 현대무용

입력 2013-03-08 00:00
업데이트 2013-03-08 0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설 곁들인 ‘…댄스살롱’ 29일부터, 새달 5일에는 ‘벽오금학’ 무대 올라

국립현대무용단은 색다른 시도가 돋보이는 두 작품을 나란히 선보이면서 올 시즌을 연다.

이미지 확대
‘벽오금학’
‘벽오금학’
실험적인 현대무용에 친절한 해설을 곁들인 ‘홍승엽의 댄스살롱’이 오는 29일부터 4월 4일까지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관객을 만난다. 현대무용은 추상성이 강해 해설을 덧대는 경우가 거의 없다. 현대무용이 어렵다고 느끼게 되는 요인이기도 하다. 국립현대무용단은 현대무용에 조금 더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젊은 안무가들로부터 창작 의미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공연에는 김정은, 박근태, 송주원, 안영준 등 안무가 4명이 각각 ‘숫자 3의 의미’, ‘짝사랑에 대한 고찰’, ‘기억을 바라보는 시선’, ‘카니발의 다의적 의미’를 선보인다. 공연 시간은 작품당 15~20분 정도로 한 작품을 마무리하면 홍승엽 예술감독과 안무가들의 대화가 이어져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공연장 로비는 문화 살롱으로 변신시켰다. 현대무용과 관련 있는 미술 작품과 연습 사진 등을 전시하고 음료를 준비해 공연 전후에 안무가와 관객이 자유로운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했다.

4월 5~7일에는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무대에 홍 예술감독의 대표작 ‘벽오금학’이 오른다. 현대무용을 문학에 접목해 창작 활동을 벌여 온 홍 예술감독의 레퍼토리 중 하나다. 홍 예술감독은 이상의 문학 세계를 소재로 한 ‘13 아해의 질주’(1995)를 시작으로, 체코 작가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에서 변형한 ‘다섯 번째 배역’(1998), 영국 극작가 피터 셰퍼의 ‘에쿠우스’에서 나온 ‘말들의 눈에는 피가’(1999), 중국 현대문학가 루쉰의 ‘아큐정전’이 바탕이 된 ‘아큐’(2006), 일본 근대문학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소설 ‘라쇼몽’을 해석한 ‘라쇼몽-어쩔 수 없다면’(2012)을 차례로 공연했다. 1996년에는 한국문인협회가 수여하는 ‘가장 문학적인 현대무용가상’을 받기도 했다.

‘벽오금학’은 소설가 이외수의 ‘벽오금학도’(1992)를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 2010년에 첫선을 보였다. 인연을 주제로 땅, 하늘, 사람의 연을 섬세한 움직임으로 풀어낸다. 두 공연 모두 입장료는 1만 5000원이다. (02)3472-1420.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3-08 2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