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기 전기’ 저작권 논란 재단·저자 법정다툼 조짐

‘김환기 전기’ 저작권 논란 재단·저자 법정다툼 조짐

입력 2013-04-02 00:00
업데이트 2013-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출간된 한국 추상화의 대가 수화 김환기(1913~1974)의 전기를 둘러싸고 환기재단과 작가 사이의 갈등이 법정 다툼으로 비화될 조짐이다.

전기를 쓴 이충렬(59) 작가는 김환기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유리창 펴냄)를 냈다. 이에 대해 환기재단은 이 작가가 김 화백과 부인 김향안(본명 변동림) 여사의 저작권과 퍼블리시티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환기재단은 1일 ‘저서에 관한 공식입장’을 내고, 이 책에 김 화백 작품 도판 8점과 김 화백의 작품이 배경으로 된 사진 25점, 김 화백 등의 초상 사진 32점을 사용하면서 재단과 환기미술관 측에 허락을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책 제목도 2005년 재단 등에서 출간한 김 화백의 저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김환기 에세이’와 거의 동일하고, 본문 내용도 이 책과 김 여사가 쓴 ‘월하의 마음’에서 상당 부분 그대로 붙였다면서 표절 의혹까지 제기했다.

재단 측은 “저작권 사용 및 퍼블리시티권 사용에 대한 사전 동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법적 조치를 강구할 것이며 따라서 이충렬씨 및 출판사에 대해서 강력한 법적 조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 작가는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허락을 받지 못한 이유와 과정을 서문에 자세히 썼다”면서 “설명과 편집 등 쪽별로 꼼꼼하게 저작권 전문 변호사에게 3번에 걸쳐 감수를 받았고, 법적으로 문제될 부분이 없다”고 반박했다. “재단 측이 저작권과 관련해 그림과 사진의 시효를 혼동한 것 같다”면서 “사진 저작권은 1978년 이후에 찍은 사진에만 적용되는 것이고, 책에는 그 이전에 촬영된 것만 사용했다. 그림도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지 못해 참고자료로서 의미가 있는 것만 넣었다”고 설명했다.

이 작가는 “작가로서 저작권은 당연히 존중받고 보호해야 할 권리라고 생각하기에 비양심적이고 상식 이하의 짓은 전혀 하지 않았다. 김 화백의 예술혼 형성과 관계가 있는지 세밀하게 검토하고 쓴 것이라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송으로 이어진다면 안타까운 마음을 지울 수 없겠지만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4-02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