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릉급 무덤 발견… 호석 두른 최고급 고분

신라 왕릉급 무덤 발견… 호석 두른 최고급 고분

입력 2013-04-03 00:00
업데이트 2013-04-03 0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주 천북면 신당리 야산에서 확인, 현장 보존조치

경주 외곽에서 왕릉이거나 그에 준하는 최고 지배층에 속한 인물이 묻혔음이 확실한 통일신라시대 호석(護石)을 두른 석실분(石室墳)이 발견됐다.

경주 천북동 신당리 야산에서 발견된 왕릉급 통일신라시대 고분. 호석을 두르고 받침돌을 세웠다. 연합뉴스
경주 천북동 신당리 야산에서 발견된 왕릉급 통일신라시대 고분. 호석을 두르고 받침돌을 세웠다.
연합뉴스
이 무덤은 그것이 자리 잡은 위치나 구조, 그리고 크기 등에서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에 위치하는 통일신라말 민애왕릉 추정 무덤과 여러모로 흡사한 것으로 드러나 관련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은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계림문화재연구원(원장 남시진)은 공장 부지에 포함된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산7번지 일대를 발굴조사한 결과 통일신라 어느 왕, 혹은 그에 준하는 최고 지배층의 대형 봉토분을 확인했다고 3일 말했다.

조사 결과 원형 봉토분인 이 고분의 봉분 바깥으로는 3단 석축으로 호석(護石)을 쌓아 돌리고, 일정한 구간마다 받침돌을 세운 것으로 드러났다. 무덤 주인공을 매장한 석실(石室)은 봉토 중앙에서 발견됐다. 호석 기준으로 고분은 지름 14.7m이며, 둘레는 현재 4분의 1 정도가 유실되고 35.5m가량 남았지만 원래는 46.3m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호석에 비스듬히 기대어 붙인 받침돌은 대체로 120-178㎝ 간격으로 모두 12개가 확인됐다. 받침돌은 길이 125㎝, 폭 35㎝가량이며, 호석과 맞닿은 상부 부분에는 빗금을 치듯이 돌을 잘 가공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단은 “고분이 세월이 흐르면서 상당 부분 훼손된 상태라 받침돌은 원래 정확히 몇 개가 있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현재 남아있는 상태를 감안할 때 모두 24개를 안치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석실은 무덤 전면으로 통하는 통로를 별도로 마련한 횡혈식 석실분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최근 개최된 전문가 검토회의를 토대로 문화재청이 현장 보존을 결정한 상태에서 조사가 중단된 상태라 정확한 구조나 내부 유물 현황 등은 현재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석실은 현재 양상으로 보아 내부는 도굴당한 것으로 조사단은 판단했다.

봉분 앞쪽 동쪽으로 약간 치우쳐 호석에서 120㎝ 떨어진 지점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최고 지배층 무덤에서는 흔히 발견되는 돌로 만든 상(床) 모양 시설물인 상석(床石)이 있던 흔적도 완연히 드러났다. 이 상석은 편평한 상부 판석은 없어졌지만, 그 하부 구조는 평면 장방형 형태로 모습을 드러냈다. 규모는 동서 216㎝, 남북 133㎝였다.

봉분 뒤편 북쪽에는 봉분을 활 모양으로 감싼 대형 축대가 발견됐다. 이 축대는 현재까지 확인된 길이만 46.5m, 현존하는 높이 104-138㎝에 이른다. 나아가 이 축대 안쪽을 따라 폭 90㎝가량 되는 배수로 시설도 확인됐다.

나아가 이 고분 인근에서는 이와 흡사한 규모의 또 다른 대형 봉토분이 확인됐다. 이 고분은 아직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조사단은 석실 내부 조사가 진행되지 않은 까닭에 이 무덤이 언제쯤 만들어졌는지를 가늠하기 힘들다고 하면서도 “8세기 중반 무렵이 아닐까 추정해 본다”면서 “왕릉 혹은 그에 준하는 최고 신분층의 무덤임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