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이 오리고 붙여 풍경처럼 복잡한 인간 내면을 담다

일일이 오리고 붙여 풍경처럼 복잡한 인간 내면을 담다

입력 2013-04-10 00:00
업데이트 2013-04-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 설치 작가’ 원성원 개인전

“가끔 컴퓨터로 사진 만지는 법 같은 걸 강의해달라 부탁받기도 해요. 그런데 전 정말 몰라서 할 말이 없어요.” 놀랠 노자다. 전시장엔 모두 큼직한 사진 콜라주 작품이다. 큰데다 구성요소도 모두 다양하다. 이 정도면 컴퓨터에 밝은 작가다 싶다. 아니, 밝은 게 아니라 이런 작업 하다보면 밝아질 수밖에 없겠다 싶다. 거기다 사진으로 유명한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 아카데미 출신이다.

‘완벽한 정원’
‘완벽한 정원’
‘자존심의 다리’
‘자존심의 다리’
그러다보니 사진작업에 대해 강의해달라는 부탁이 나올 법도 하다. 그런데 작가는 스스로 “포토샵으로 보정 조금 하는 정도일 뿐 나머진 하나도 모른다”, “이런 부분은 어떤 툴을 쓰는지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을 물어보는 분들이 가끔 있는데, 그런 걸 하나도 모른다는 걸 이해시키기 위해 제 작업 방식을 일일이 설명하는게 힘겹다”고 한다.

대체 어떻게 작업하길래? 정말 사진을 컴퓨터상에서 확대해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지우고, 그리고, 붙이고, 오려낸다. 콜라주 작업한 대상들이 단순한 외곽선을 가진 것도 아니다. 동물, 그러니까 털이 숭숭 난 것들이다. 식물, 그러니까 빽빽한 잎 사이로 빛이 스며드는 공간이 나있는 것들이다. 어떤 프로그램을 쌈박하게 돌려서 일거에 쭉쭉 뽑아내는 게 아니라 투덜투덜대며 손으로 일일이 고치고 고치고 또 고친 결과물이다.

그래서 2년간, 하루에 15~16시간씩, 그것도 전시를 앞두고 막판 4개월 동안은 일거리를 집에 싸들고 가서 방에 콕 틀어박혀 작업했는데 전시작은 모두 6점이다.

5월 9일까지 서울 종로구 통의동 아트사이드갤러리에서 개인전 ‘캐릭터 에피소드Ⅰ’을 여는 원성원(41) 작가 얘기다. 작가의 트레이드 마크는 밀도 높은 사진 콜라주 작업. 그래서 사진 프로그램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스마트한 작가를 떠올렸건만, 뜻밖에 작업방식은 철저히 ‘무거운 엉덩이’쪽이다.

한마디 더 보탰다. “전 사진기도 몰라요.” 요즘 사진기가 참 좋아서 알아서 초점 맞춰 찍어주니 저 정도 찍는 것이지 그게 아니었으면 엄두도 못 냈을 거란다. 그러다보니 사진 찍을 때 제일 신경 쓰는 건 날씨다. 날이 지나치게 맑거나 어두우면 달라지는 빛의 양 때문에 나중에 컴퓨터 작업에서 톤을 맞추기가 어렵다. 아니, 톤을 맞출 줄 모르니 나중에 톤 맞추기 좋게 일률적으로 적당히 구름이 낀 날씨 아래서만 사진을 찍는다.

그래서 작가는 스스로를 “사진작가”라 하지 않고 “사진 설치 작가”라 부른다. 사진을 모르는데 어찌 사진작가라 사칭(?)할 수 있겠냐는 생각에서다. 대신 캔버스 위에 일일이 손으로 만진 사진을 배치하는 것이니 설치작업쯤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번에 내놓은 작업은 작가 주변 사람들의 성격을 형상화한 작품들이다. 그것도 주로 작가로서는 이해하기 힘들거나 견뎌내기 힘든, 특이한 성격을 골랐다. 그래서 두 가지 장점이 있다. 하나는 의미의 외연을 마음껏 넓힐 수 있다. 가령 ‘완벽한 정원’은 작품 자체로는 완벽하다 자칭하는 이들의 어처구니없는 내면풍경을 얘기하는 작품인데, 내우외환이 밀려드고 있는 시기에도 여전히 ‘원칙과 신뢰’가 붉게 빛나고 있는 정원의 풍경은 지금의 한국 풍경과 다를 바 없다. 또, 보는 사람마다 나름대로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도 된다. 척 보는 순간 뜨끔한다고 너무 자책할 필요는 없다.

작가 말마따나 이러저러한 성격이란 “누구에게나 조금씩은 다 있는” 것이니까. 사실 현대의학이 어찌할 수 없는 최고의 불치병은 무치(無恥) 아니던가. (02)725-1020.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4-10 2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