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회, 일제강점기 개신교계 가장 먼저 신사참배 77년만에 공식 회개

감리교회, 일제강점기 개신교계 가장 먼저 신사참배 77년만에 공식 회개

입력 2013-04-12 00:00
업데이트 2013-04-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국주의 이념 나팔수” 고백

일제강점기 국내 기독교 교단 중 가장 먼저 신사참배를 했던 감리교회가 뒤늦게 회개 결의를 했다. 77년 만의 공식 결의인 이번 감리교회의 회개가 교단 전체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회개 결의가 나온 건 지난 5일 서울 은평구 녹번동 은평교회에서 개최된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제33회 서울 연회에서다. 연회에 참석한 1500여명의 목회자와 평신도들은 ‘신사참배 회개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이와 관련한 공동기도문을 함께 낭독했다.

이들은 “오직 하나님 한 분만 섬겨야 할 우리 감리교회가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강요에 무릎 꿇고 제일 먼저 신사참배를 받아들였다”면서 “감리교회가 일제 군국주의 이념을 선전하는 나팔수가 됐고 젊은이들을 전쟁 마당으로 내몰아 고귀한 생명들을 희생당하게 했다”고 고백했다. 특히 해방 이후 감리교회의 행보와 관련해서도 “자유당 정권의 부정과 부패를 막지 못하고 오히려 정권에 빌붙어서 부패한 독재정권 연장을 위해 애썼다. 독재정권을 진리의 말씀으로 심판해야 할 교회가 예언자적 사명을 잃어버리고 부정과 부패구조의 일원이 되는 큰 죄를 민족과 역사 앞에 저질렀다”고 시인했다.

감리교회가 최초의 신사참배 교단으로 낙인 찍힌 건 1936년 6월 양주삼 총리사가 감리회보에 “신사참배는 종교의식이 아닌 국민의례”라는 일제 논리를 그대로 따른 글을 발표하면서다. 1938년 구세군과 장로교, 천주교가 신사참배를 총회에서 결의하기 이전의 일이다. 이후 1938년 10월 양주삼 총리사와 총대 및 목회자 평신도들이 남산 조선신궁에 찾아가 신사에 참배한 것으로 기록된다.

감리교단은 이번 서울 연회의 회개 기도문 채택을 놓고 논란을 벌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감독회장 선거사태로 교단이 혼란스러운 만큼 새 감독회장 선출 이후로 미루자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이에 대해 서울 연회 김영헌 감독이 “신사참배가 서울 연회 안에서 일어난 일인만큼 서울 연회부터 머저 참회한 뒤 총회 차원에서도 회개하자”고 강력히 주장해 회개 결의가 성사됐다. 따라서 연회 차원의 회개가 감리교단 전체로 확산될 수 있을지 여부는 새 감독 선출의 과정에 달렸다고 봐야 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04-12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