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공동체 문화가 담긴 ‘밥’

한국인의 삶·공동체 문화가 담긴 ‘밥’

입력 2013-05-07 00:00
업데이트 2013-05-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리랑TV ‘테일스 오브 한식’

건강에 좋은 슬로 푸드로 세계인이 주목하는 한식. 과연 한식의 잠재력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아리랑TV는 한국의 음식문화를 조명한 13부작 다큐멘터리 ‘테일스 오브 한식’(Tales of Hansik)을 7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전 6시 30분에 방송한다.

한식의 영양학적 우수성에 초점을 맞춰 한식 13종류의 역사와 조리법을 소개한 13부작 다큐멘터리 ‘테일스 오브 한식’. 아리랑TV 제공
한식의 영양학적 우수성에 초점을 맞춰 한식 13종류의 역사와 조리법을 소개한 13부작 다큐멘터리 ‘테일스 오브 한식’.
아리랑TV 제공
이 프로그램은 한식의 과학적 조리법과 영양학적 우수성에 초점을 맞춰 한식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요리사 매튜 정이 진행을 맡았다. 제작진은 한식을 13종류로 나눠 음식의 역사와 다양한 조리법, 효능과 영향 등을 들여다본다. 밥, 떡, 전, 면, 죽, 육류, 국과 탕, 찌개와 전골, 김치, 찜과 조림, 젓갈, 나물을 차례로 다룬다.

1회 ‘밥’ 편에서는 한국인들의 주식인 밥의 개념과 태어나 첫 생일에 받는 돌잔칫상의 의미, 한식의 기본 상차림과 전통 밥상의 구성, 그리고 현재 한국인들이 먹는 일상 밥상에 대해 알아본다.

한식의 가장 기본이 되는 밥. 한 그릇의 밥은 한국인에게 음식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안부를 물을 때조차 ‘식사하셨어요’라고 할 정도로 한국인에게 밥은 먹고사는 문제을 넘어선 생명, 인생의 또 다른 의미다.

한국인은 기원전 4세기부터 밥을 지어 먹었고, 서기 20년경 솥이 등장해 쌀을 삶고 찌고 태우는 과정을 통해 솥밥을 지어 먹기 시작했다. 프로그램은 한국의 전통 가마솥 제작 과정과 이 솥에 쌀을 담아 불 조절과 뜸들이기 과정을 통해 지은 밥맛이 오랜 세월 동안 어떻게 한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았는지에 대한 원리도 함께 밝혀 낸다.

또한 백미, 현미, 흑미를 이용한 흰쌀밥과 현미밥, 영양밥과 김밥, 비빔밥 등 여러 형태의 밥을 통해 한국인들이 에너지를 얻고 건강을 유지하는 원리를 알아본다. 고봉밥을 먹던 예전에 비해 줄어든 밥의 양과 쌀밥보다는 잡곡밥을 선호하는 이유를 알아본다. 세상에 태어나 성장하고 나이 들어 죽음을 지나기까지의 통과의례마다 올리는 밥과 죽음 이후에도 고인을 추억하는 풍속, 그리고 오곡밥을 지어 이웃과 나누는 공동체 문화 등을 통해 한국인에게 밥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 밖에도 떡, 전, 국수, 죽과 한식의 대표적인 저장 음식으로 가짓수가 수백 종인 김치 등을 소개하면서 음식에 얽힌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한다.

아리랑TV 관계자는 “수천 년의 역사가 빚어낸 한국의 산해진미, 세계인이 주목하는 한식의 진면목과 우수성에 대한 철저한 분석은 물론 저마다 가진 이야깃거리를 통해 맛있는 한식의 세계로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3-05-07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