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리뷰] 연극 ‘만선’ 아들 넷 앗아간 바다로 돌아간다,그게 삶이니까

[공연리뷰] 연극 ‘만선’ 아들 넷 앗아간 바다로 돌아간다,그게 삶이니까

입력 2013-05-10 00:00
업데이트 2013-05-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란다고 내가 질 줄 알어? 아녀! 난 기어코 일어설 거구만. 내 아들 찾아올 것이여. 암만. … 너 못 간다. 못가! 내가 그냥 가게 안 둘 것이여!”

예술의전당이 ‘한국 근대 리얼리즘 명작선’의 첫 작품으로 올린 연극 ‘만선’의 한 장면. 인간의 이기심과 잔혹한 현실에 망연자실하면서도 만선의 꿈을 버리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현재도 큰 울림을 던진다. 예술의전당 제공
예술의전당이 ‘한국 근대 리얼리즘 명작선’의 첫 작품으로 올린 연극 ‘만선’의 한 장면. 인간의 이기심과 잔혹한 현실에 망연자실하면서도 만선의 꿈을 버리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현재도 큰 울림을 던진다.
예술의전당 제공
철제 계단 위에 홀로 선 ‘곰치’가 어두워진 하늘을 향해 절규한다. 결연한 표정으로 바다에 맞서고 하늘을 향해 삶의 의지를 불태운다. 그 사이 무대 바닥부터 천천히 파란색 조명이 너울거리며 무대를 점령해 간다. 곰치의 집과 마당을 집어삼키는 파도, 곰치의 숨통을 조여 오는 비정한 바다다. 희망을 가로채는 건 자연인가 싶지만, 인간을 배신하는 건 결국 돈과 탐욕이 뒤엉킨 또 다른 인간들이다.

한국 근대 명작 희곡 중 하나인 천승세 원작의 ‘만선’이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무대에 올랐다. 예술의전당이 기획한 ‘한국 근대 리얼리즘 명작선’의 첫 작품이다. ‘만선’은 1964년 국립극장 희곡현상 공모에 당선돼 그해 7월에 초연했다. 전남 목포 출신인 천승세는 서해안의 작은 섬을 배경으로 처절한 현실 앞에서도 꺾이지 않는 인간의 의지를 그려냈다.

주인공 곰치는 간만에 부서 풍년을 만났다. ‘부서’(민어과 어류 부세의 사투리) 떼를 성공적으로 어장에 가두면서 대박을 터뜨렸다. “허벅다리 같은 놈의 부서들”을 팔아 빚도 갚고, 내 배를 장만해 고기잡이를 할 수 있을 거라는 꿈에 부풀어 있다. 하지만 곰치의 꿈은 오래 못 갔다. 선주 임재순이 밀린 빚을 빌미로 부서를 모두 거둬가고, 부서 떼가 한창인데 느닷없이 배까지 묶어 버렸다. 사흘 내로 2000만원을 갚아야 배를 다시 빌려주겠다고 하는 상황에서 곰치는 만선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집까지 내맡기면서 배를 빌려 바다로 나갔다. 폭풍우 속에서 무리하게 부서를 싣고 오다가 배가 뒤집혀 버렸다. 곰치는 겨우 목숨을 건졌지만 아들 도삼이는 실종됐다. 부인 구포댁은 실성하고, 부자의 후처로 들어갈 처지에 놓인 딸 슬슬이는 삶을 포기한다. 세 형과 동생, 네 아들을 모두 바다에서 잃은 곰치는 상처와 상실에 괴로워하면서도 만선의 희망과 어부의 숙명을 벗어던지지 못하고 다시 바다로 향한다.

연출을 맡은 김종석 용인대 교수는 1960년대와 2013년의 시대적 간극을 억지로 좁히려 들지 않았다. 비정한 사회를 감당해야 하는 소시민의 모습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면서도 ‘만선’의 원형은 살렸다. 그렇다고 사고방식이 너무 낡았다거나 현실적이지 않는 게 아니다. 인간 본성에 대한 고찰을 명확히 전하겠다는 김 교수의 연출 의도와 배우들의 열연이 완벽한 합일을 이루면서 명작 ‘만선’이 다시 살아났다.

무대에는 그물을 얹은 지붕에 시멘트로 벽을 만든 허름한 집과 수도꼭지, 평상, 무대 안쪽 조망대가 전부다. 나무판을 겹겹이 붙여 커다란 배의 일부처럼 만들어 어부들 삶의 터전을 표현했다. 성기고 거친 마무리는 마치 부서진 갑판 같다. 객석 쪽으로 내리막 경사를 만들어 어부들의 위태로운 현실을 드러냈다. 무대는 단순하지만 의미는 뚜렷하다.

이 위에서 배우들은 각각의 색깔로 인물의 삶을 분명하게 펼쳐보인다. 한명구(곰치 역)와 황영희(구포댁 역)의 연기는 관객을 옴짝달싹 못하게 할 정도다. 소극장에서 공연하는 ‘덕에’ 한명구의 살아있는 눈빛부터 상실감에 젖어 맥이 풀린 눈빛까지 세세한 감정 변화를 느낄 수 있다. 황영희는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를 맛깔나게 살려 관객을 웃겨 주는가 하면 아들을 잃고 실성한 구포댁을 연기할 때에는 눈물을 뽑아낸다. 커튼콜에서 큰 박수가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김재건(임재순 역), 이진희(슬슬이 역), 이기봉(범쇠 역) 등 실력파 배우들의 연기가 조화를 이루면서 연극이 아니라 이웃의 절절한 이야기를 들여다보는 듯 몰입하게 된다. 15일까지. 2만 5000~3만원. (02)580-1300.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5-10 21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