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국 설립 ‘시공사’는 어떤 회사

전재국 설립 ‘시공사’는 어떤 회사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1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0년 설립’매디슨카운티의 다리’·’디스커버리 총서’ 등 화제

도서출판 시공사는 페이퍼컴퍼니 설립으로 비자금 은닉 의혹을 받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장남 재국 씨가 1990년 설립한 회사다.

1990년대 초반 미국 작가 로버트 제임스의 소설 ‘매디슨카운티의 다리’로 국내 최단기 100만부 판매를 돌파하면서 화제를 낳았고 존 그리샴의 장편 ‘펠리컨 브리프’와 ‘의뢰인’ 등을 번역출간해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1996년엔 문화유산과 고대문명, 과학, 예술 등 각종 분야를 아우르는 교양서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를 발간하기 시작해 출판계 입지를 다졌고 아동서와 인문, 여행서, 만화, 잡지, 생활정보 포털사이트 사업 등으로 범위를 넓혔다.

전 대표는 을지서적과 화정문고 등 대형서점을 인수하고 온라인 서점 리브로를 여는 등 사업확장을 도모하면서 2001년 산업자원부 표창을 받기도 했으며 최근까지도 디스커버리 총서와 외국소설, 인문·과학서적 등을 펴내며 출간작업을 활발히 했다.

출판계에서는 전 대표의 공격적 사업확장을 부친의 비자금과 연결짓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전 대표는 이를 부인했다.

전 대표는 14대 총선 당시 경남 합천 출마설이 나오고 1995년 부친의 이른바 ‘골목성명’을 직접 작성하는 등 정치에 간여하기도 했지만 이후로는 출판업에 매진해왔다.

시공사는 전 대표의 페이퍼컴퍼니 설립과 관련해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시공사 관계자는 “(의혹 보도와) 시공사는 무관하고 시공사 차원에서 입장을 낼 것은 없다”고 말했다.

전 대표가 단독 등기이사이자 주주로 등재된 페이퍼컴퍼니의 주소지가 시공사의 주소지와 일치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서초동 사옥이 전 대표 명의로 돼 있기 때문에 페이퍼컴퍼니와 시공사의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전 대표는 최근까지 출근해 업무를 봤지만 주말께 뉴스타파 측에서 연락을 받은 뒤 3일엔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세청은 전 대표가 시공사를 운영해왔고 페이퍼컴퍼니의 주소지가 시공사의 주소지로 등재된 만큼 시공사의 관련성 여부에 대한 자료 확인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