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레종 1200년 전 울림 다시 듣는다

에밀레종 1200년 전 울림 다시 듣는다

입력 2013-10-08 00:00
업데이트 2013-10-08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주시, 내년 15억 들여 ‘복원’

훼손 우려로 타종이 영구 중단된 국보 제29호 에밀레종(성덕대왕신종)이 원형에 최대한 가깝게 복원된다. 1200년 전 신라의 종소리를 다시 들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국보 제29호 에밀레종(성덕대왕신종)
국보 제29호 에밀레종(성덕대왕신종)
경주시는 내년까지 국비 5억원 등 총 15억원으로 에밀레종을 복제해 매년 주요 행사 때마다 타종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771년 신라 혜공왕 때 완성된 에밀레종은 2003년 개천절 때 33번 타종을 마지막으로 타종이 영구 중단됐다. 계속 타종할 경우 안전에 심각한 위해가 될 수 있다는 문화재청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 초 원광식(71·중요무형문화재 112호) 주철장에게 제2의 에밀레종 제작을 의뢰, 연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새롭게 제작될 종은 에밀레종과 같은 청동 재질로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25m, 무게 18.9t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 주철장은 “신종(新鐘)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에밀레종의 소리와 문양 등을 최대한 살려 내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에밀레종에 대한 각종 연구와 첨단 기법이 총동원될 것”이라고 밝혔다.

에밀레종은 742년 신라 경덕왕이 부왕인 성덕대왕을 기리기 위해 만들기 시작해 29년 만인 771년 혜공왕 때 완성됐다. 당시 서라벌 북천 인근(현 경주세무서 주변)의 봉덕사에 달았으나 이후 절이 허물어지면서 종은 북천 모래 밭에 묻혀 방치됐다. 조선 초인 1460년 주민이 발견해 영묘사로 옮겨졌으며 현재는 경주국립박물관 정문 맞은편에 있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기를 시주해 넣었다는 전설에 따라 아기 울음소리를 본떠 ‘에밀레종’이라고도 부른다.

경주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3-10-08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