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국보 1호 해제 공론화 필요”

“숭례문 국보 1호 해제 공론화 필요”

입력 2014-03-06 00:00
업데이트 2014-03-06 0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선화 문화재청장 인터뷰

“국보 1호의 ‘1’은 중요도 순이 아닌 등록 순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지역별로 문화재에 단순히 번호를 매긴 것에 불과한데,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죠. 숭례문을 국보 1호로 유지할지 포기할지에 대해 국민의 뜻을 물어보는 공론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확대
나선화 문화재청장
나선화 문화재청장


오는 27일로 취임 3개월을 맞는 나선화(65) 문화재청장은 5일 서울 광화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화재와 복원 과정에서 끊임없이 논란을 빚어온 ‘숭례문 국보 1호 해제론’에 대한 견해를 이렇게 밝혔다. “국보 1호가 국보 1위를 뜻하는 건 아니며, 따라서 숭례문이 ‘1호’의 지위를 계속 유지해야 할지에 대한 국민적 공론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결정할 문제”라면서도 “숭례문 복원과 관련한 감사원 감사와 경찰 조사 등이 마무리된 후 연말쯤 이 문제를 끄집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1934년 일제가 숭례문을 ‘조선 고적 1호’로 지정한 이후 끈질기게 이어져 온 국보 1호 논란이 정책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앞서 김영삼 정권(1996년)과 노무현 정권(2005년)은 역사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 문화재청에 국보 1호 변경을 권고하기도 했다. 문화재에 번호를 매기는 곳은 전 세계에서 남북한이 유일하며, 향후 논의는 지정 번호를 폐기하는 쪽에 방점이 찍힐 것으로 보인다.

→숭례문의 국보 1호 해제는 가능한가.

-합의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국보 1호가 최고의 문화재라는 인식은 바뀌어야 한다. 국민들이 상징적으로 1호의 위상을 원한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런 논의 자체가 국민이 문화재에 관심을 기울이게 할 것이다.

→숭례문 복원 관련 감사원 감사 결과는 나왔나.

-이달 중순쯤 마무리될 것이다. 경찰의 수사 결과도 곧 나온다. 감사원은 복원된 숭례문의 구조적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보고서를 내놓을 것으로 안다. 그동안 (문화재청이) 너무 불성실했다는 반성을 많이 했다. 명확한 규정이나 책임 있는 설계 심의조차 없었다.

→숭례문 사태는 시스템의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취임 직후 제도나 사람 모두 고치자고 했다. 숭례문 사태는 향후 국가 문화재 복원의 좌표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오랜 시간 많은 예산을 들여 복원했으니 모든 과정을 자료로 남겨야 한다. 취임한 뒤 지금까지 감사 자료 받고 증언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올 하반기쯤 숭례문 복원의 전 과정을 기록한 ‘숭례문 백서’를 기획할 예정이다. 향후 이를 문화재 복원의 기본 매뉴얼로 삼게 할 방침이다.

→숭례문은 실패한 복원인가. 긍정론도 있다.

-복원에는 정신사, 철학, 전통 계승 노력 등이 모두 중요하다. 어느 나이 많은 문화재 점검위원이 “평생 열심히 봉사했는데 졸지에 모두 죄인이 된 것 같다”며 흐느끼더라. 숭례문은 애초부터 100% 전통 방식으로 복원할 수 없었다. 절반가량만 가능했다. 전통과의 단절이 큰 상황에서 숭례문 화재로 놀란 국민을 위로하려고 꺼낸 이야기가 오해를 샀다. 요즘은 전통 사찰의 대웅전 복원에도 북미산 목재가 쓰인다. 목조·석축의 도구는 물론이고 안료까지 모두 현대식으로 바뀌었다. 이건 되고, 저건 안 되는 식으로 명확하게 중간 보고를 했어야 하는데 늘 ‘소통’이 문제였다. 이러다 단청이 갈라졌다는 얘기가 나오니 국민이 다시 충격을 받은 것 아닌가.

→만약 숭례문이 불탔을 당시 문화재청장이었다면 어떻게 대처했겠는가.

-타는 과정부터 생생하게 영상에 담아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했을 것이다. 어떻게 불길이 번지고 무너져내리는지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복원은 국민적 합의를 거쳐 1960년대 방식을 지닌 상부(목조)구조와 17세기 중기 조선 기법이 투영된 하부구조를 어떻게 반영할지부터 논의했을 것이다. 여기에만 2~3년은 족히 걸린다. 시간이 걸려도 함께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가야 했다.

→취임 뒤 가장 고민하는 사안은.

-문화재 수리는 일반 공사와 전혀 다른 일이다. 시대 정신과 기술, 미감을 모두 살려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선 정신적 기반이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 공사처럼 밀어붙인다. 경력이 검증된 기술자가 제대로 된 관리시스템을 통해 직무교육을 받은 뒤 투입돼야 한다.

나 청장은 곪아 터진 문화재청의 대대적인 조직개편도 예고했다. 그는 “섣불리 칼을 대기보다 어떻게 곪은 부위를 도려낼지를 놓고 연말쯤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의 자문기구인 문화재위원회가 의사결정기구의 역할을 떠맡아 벌어진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글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사진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014-03-06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