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꽃핀 양대 조선도예 400년 만에 만나다

일본서 꽃핀 양대 조선도예 400년 만에 만나다

입력 2014-03-06 00:00
업데이트 2014-03-06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쿄 韓문화원 심수관·이삼평展

400여년 전 일본에 끌려와 조선의 도예 기술을 꽃피운 도공의 양대 가문 심수관가(家)와 이삼평가가 한자리에 모였다.
이미지 확대
일본에 끌려온 조선 도공의 양대 가문 후손인 제15대 심수관(오른쪽)과 14대 이삼평이 5일 일본 도쿄 주일 한국문화원에서 작품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일본에 끌려온 조선 도공의 양대 가문 후손인 제15대 심수관(오른쪽)과 14대 이삼평이 5일 일본 도쿄 주일 한국문화원에서 작품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도쿄의 주일 한국문화원은 5일부터 22일까지 문화원 갤러리에서 열리는 기획전 ‘해협을 잇는 도공, 400년의 여행-이삼평과 심당길을 되새기고’ 개최에 앞서 주인공인 제15대 심수관(55)과 14대 이삼평(53)의 공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16세기 말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인해 일본에 끌려온 조선 도공들은 주로 서일본에 정착해 조선의 도예 기술을 전하며 일본의 도자기 산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그중 가고시마현에 자리를 잡고 ‘사쓰마야키’로 불린 자기로 일가를 이룬 심수관가와 사가현에서 ‘아리타야키’를 만드는 이삼평(일본명 가나가에 산페이)가가 대표적인 가문으로 손꼽힌다. 후손들은 지금까지도 선조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아 쓰면서 조선 도예의 명맥을 잇고 있다.

두 가문이 함께 기획전을 여는 것은 처음이다. 14대 이삼평은 “2016년에 아리타야키 400주년을 맞는데 그런 의미에서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 한국문화원의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같은 조선 도공이었지만 정착한 지역의 흙에 따라 작품의 개성은 서로 다르다. 15대 심수관은 “아리타야키의 생지(유약을 바르기 전 도자기)와 유약을 좋아한다”고 평했고 14대 이삼평은 “사쓰마야키는 전통을 제대로 지켜 만드는 작품이라 매우 아름답다”고 말했다.

최근 경색된 한·일 관계에도 불구하고 두 가문은 작품을 통해 한국과 일본을 잇는 가교가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피력했다. 14대 이삼평은 “초대 선조가 일본에 와서 아리타야키가 생겼고 그 덕분에 나도 있게 됐다”면서 “한국에 보은하고 싶은 마음이 있고, 내 작품으로 한국과 교류하고 싶다. (일본인들이) 아리타에 와서 우리의 작품과 역사를 본다면 한·일 관계도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15대 심수관은 “같은 백자 도공으로 일본에 와서 사쓰마야키, 아리타야키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했다. 결국 뿌리는 하나이기 때문에 우리는 형제와 같다. 기회가 된다면 일본에 있는 조선 도공들이 다 함께 기획전을 열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 사진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4-03-06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