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적발된 사재기 의혹…해당 출판사는 부인·반발

또 적발된 사재기 의혹…해당 출판사는 부인·반발

입력 2015-07-31 11:41
업데이트 2015-07-31 15: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서정가제 선순환 기대에 찬물 끼얹나

출판계의 고질병처럼 반복돼온 불법적인 도서 사재기 마케팅 행위가 다시 적발됐다.

31일 출판계에 따르면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운영을 맡고 있는 출판계 자율 심의 및 규제기구인 출판유통심의위원회가 지난달 중순 회의를 열어 K출판사의 신간 문학 에세이의 일부 구매 행위에서 사재기 의혹을 적발하고, 주요 서점 판매순위 목록 삭제 등 조치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K출판사 측이 관련 사실을 부인하고, 즉각 유통심의위 조치의 효력 중지에 대한 가처분 신청을 내는 등 반발하고 나서면서 유통심의위 위상 또한 다시금 도전받는 상황에 이르렀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단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각 서점의 판매순위 목록 제외 조치의 효력은 중지됐다. 유통심의위는 가처분에 불복해 즉시 항고했으며, 아직 사재기 행위에 대한 검찰 고발은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1월 도서정가제 전면 시행 이후 정가제 위반사들을 제재할때도 제재 대상이 됐던 출판사들이 강하게 반발해 상당한 진통을 겪은 바 있다.

유통심의위 등에 따르면 적발된 사재기 행위는 온라인상에서 특정인이 같은 주소로 여러 서점에서 책을 사서 보내는 전통적인 수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익명을 요청한 심의위 관계자는 “적발 사실을 검토한 심의위원들 사이에서는 사재기 행위라는 점에 이견이 없었다”며 “출판계 전체가 사재기 행위 근절에 뜻을 모으게 된 저간의 사정을 잘 알지 못하는 신생 출판사가 연루된 일이어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K출판사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사재기 의혹과 관련한 내용을 전혀 알지 못하고 사실도 아니다”고 밝혔다. 작가와의 인터뷰 요청 또한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2013년 소설가 황석영과 김연수 등 대형 작가들 작품마저 사재기 의혹에 연루되면서 출판계는 엄청난 후폭풍을 치러야 했다. 같은 해 10월 이를 규제할 강도 높은 자율협약을 맺었지만, 지난해에도 실용서들의 사재기 적발은 이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