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맛골서 캔 ‘보물’

피맛골서 캔 ‘보물’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5-04 23:02
업데이트 2016-05-05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9년 청진동서 출토된 백자항아리 등 4건 보물 지정 예고

서울 종로구 청진동 피맛골에서 2009년 출토된 조선시대 백자 항아리가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3점,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등 4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4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이미지 확대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는 15~16세기 국가에서 운영하던 경기 광주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서울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항아리 두 점은 높이가 35.5㎝로 이른바 ‘달항아리’보다 조금 작으며, 나머지 한 점은 높이가 28㎝다. 항아리는 접시, 대접, 병 등과 함께 조선시대 백자 중에서 가장 많이 만들어진 그릇으로, 피맛골에서 발견된 항아리들은 조선 전기 양식을 띠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들 항아리는 흠결이 거의 없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고 순백자로서 희소성도 있으며 출토지가 명확해 중요성을 더한다고 설명했다.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사리장엄구’는 1916년 갈항사 터의 동·서 삼층석탑을 경복궁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견됐다. 동탑 기단부엔 758년(경덕왕 17)에 언적법사(言寂法師)와 조문황태후(照文皇太后) 등이 발원해 건립됐다고 적혀 있다. 문화재청은 “사리장엄구도 탑이 세워질 당시 봉안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통일신라 사리장엄구의 기준이 되는 자료”라고 평했다.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보타락가산에 머물고 있는 관음보살을 찾아가 깨달음을 구하는 장면을 묘사한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조선 왕조의 법률, 특히 형률(刑律)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인 ‘대명률’(大明律)도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5-05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