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과 사랑에 빠진 남자에게 듣는 ‘탐서의 즐거움’

헌책과 사랑에 빠진 남자에게 듣는 ‘탐서의 즐거움’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6-05-16 16:58
업데이트 2016-05-16 16: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성근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대표·작가

이미지 확대
 헌책과 단단히 사랑에 빠진 한 남자가 있다. 그동안 모은 책이 3만여권을 훌쩍 넘는다. 서울 은평구 녹번동에서 10년째 복합문화공간인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을 운영하는 대표이자 ‘심야책방’, ‘헌책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등을 쓴 작가 윤성근(41)씨 얘기다

이미지 확대
그가 신작 ‘탐서(探書)의 즐거움’(모요사) 을 펴냈다. 감칠맛이 묻어나는 이 책은 작가들이 꼭꼭 숨기고 싶은 비밀을 짓궂게 드러낸다. 그의 말대로 유명한 작가들의 ‘망작’(망한 작품)이나 ‘괴작’(괴이한 작품), 절필한 작가의 이색적인 책부터 갖가지 사연이 얽힌 책들이 그의 서가이자 헌책방에 꽂혀 있다.

 “소설가 박완서가 생애 마지막 전집에서도 빼게 한 소설이 있어요. 1979년에 초판본이 나온 ‘욕망의 응달’이라는 소설이죠. 주인공인 미혼모가 딸과 함께 어머니가 각각 다른 형제 9명이 사는 저택에 들어가 살게 된 후 벌어지는 살인 및 방화 사건 속에서 욕망의 실체를 깨닫게 된다는 이야기인데 요즘으로 치면 초대형 막장 드라마죠. 소설가 김영하는 어떻고요. 공식 작품 목록에선 빠져 있지만 그의 첫 데뷔 소설은 1980년대 학생운동을 무협지로 그려 낸 1992년 초판본 ‘무협학생운동’이에요. 전설처럼 전해져 오는 책이죠.”

 윤 대표는 초판본의 매력에 대해 “사람으로 따지면 첫사랑 같다”며 “작품에 얽힌 작가들의 사연뿐 아니라 헌책을 찾아다니는 독자들의 사연들도 초판본에 묻어 나온다”고 말한다. 윤 대표에게 1960년대는 ‘천재들의 전성시대’다. 김승옥, 황석영, 최인호, 박상륭, 김현 등 한국 문학사에 혜성처럼 떠오른 스타 작가들이 이 시기에 등장했다.

 윤 대표가 특히 아끼는 책은 ‘무진기행’의 김승옥이 절필 전 남긴 유일한 수필집인 1977년 초판본 ‘뜬 세상에 살기에’이다. 김승옥은 1981년 갑자기 신의 음성을 들었다며 펜을 꺾는다. 이 책에는 평론가 김현과 함께 만든 잡지 ‘산문시대’에 얽힌 후일담과 자신의 작품에 대한 자작 해설도 들어 있다. ‘산문시대’ 창간호는 300부 한정본으로 찍혀 헌책방 분야에서는 귀한 책으로 꼽힌다.

 2013년 타계한 ‘영원한 청년작가’ 최인호가 20개 나라를 여행한 후 1975년에 펴낸 ‘맨발의 세계일주’ 초판본도 눈에 띄는 컬렉션이다. 윤 대표가 가장 애독하는 책은 어린 시절 세계를 동경하게 만들었던 김찬삼의 ‘세계일주 무전여행기’ 1962년 초판본. 김찬삼이 처음 세계여행에 나선 때가 1958년이니 놀랍지 않은가.

이미지 확대
 윤 대표에게도 꼭 찾고 싶은 책이 하나 있다. 바로 최고의 낭만시인으로 꼽히는 박인환의 첫 시집이다. 수집가 누구나 찾고 싶어 하는, 희소가치가 높은 책이다. 박인환의 첫 시집이자 유고집인 ‘박인환 선시집’은 출고를 눈앞에 두고 인쇄소 화재로 모두 불타 버린다. 책 수집가들은 화재가 나기 전 출판사가 박인환에게 샘플로 보낸 오리지널 양장본 5권에 주목한다. 세상에 몇 권 남지 않은 박인환의 유일한 자취이기 때문이다.

 윤 대표는 “가끔 나 자신이 탐정 같다. 한 사람을 찾으려면 그 사람의 행적을 조사하듯이 세상에 묻혀진 옛 책들도 모두 행적과 스토리를 조사하게 되면 비로소 가치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한다. 그는 2011년 10월 박원순 시장의 집무실을 책방으로 디자인했던 당사자로도 유명세를 탔다. 박 시장은 최근까지도 윤 대표의 책방을 이따금 찾아와 책을 사 가거나 머물다 간다.

 윤 대표의 탐서법은 무엇일까. “책을 읽어서 무엇인가를 얻겠다는 생각보다는 책을 읽는 과정 자체를 즐기고 그 경험을 소중하게 생각하면 좋겠어요.”

 글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