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역 스크린도어에 나붙은 추모시…온라인서 확산

구의역 스크린도어에 나붙은 추모시…온라인서 확산

입력 2016-06-11 10:23
업데이트 2016-06-11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심보선 시인, 시 ‘갈색 가방이 있던 역’ 써붙여

이미지 확대
구의역에 붙어 있는 추모글
구의역에 붙어 있는 추모글 구의역 스크린도어 수리도중 사망한 김 모 군의 발인 일인 9일 오전 사고현장에 추모의 글이 적혀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시인 심보선이 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 중 사고로 숨진 김모(19)씨를 기리며 역에 써 붙인 시(詩)가 잔잔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시인은 지난 8일 ‘갈색 가방이 있던 역’이라는 제목의 시를 종이에 자필로 써 구의역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붙였다.

이 시는 노벨문학상을 받은 폴란드 시인 비스와바 심보르스카의 시 ‘작은 풍선이 있는 정물’ 형식을 모방해 쓴 것이다. 시인은 심보르스카의 시와 자신의 시를 나란히 써붙였다.

‘갈색 가방이 있던 역’은 “작업에 몰두하던 소년은/스크린도어 위의 시를 읽을 시간도/달려오는 열차를 피할 시간도 없었네.”로 시작한다.

“갈색 가방 속의 컵라면과/나무젓가락과 스텐수저/나는 절대 이렇게 말할 수 없으리./”아니, 고작 그게 전부야?“//읽다 만 소설책, 쓰다 만 편지/접다 만 종이학, 싸다 만 선물은 없었네./나는 절대 이렇게 말할 수 없으리./”더 여유가 있었더라면 덜 위험한 일을 택했을지도.“

여기서 ”더 여유가 있었더라면 덜 위험한 일을 택했을지도“라는 구절은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가 이 사고와 관련해 자신의 트위터에 올렸다가 논란을 일으킨 ”조금만 여유가 있었더라면 덜 위험한 일을 택했을 지도 모른다“는 글을 비꼰 것이다.

시인은 사고의 원인을 개인의 잘못으로 돌리려 한 철도 관계자들을 질타하기도 했다.

”전지전능의 황금열쇠여,/어느 제복의 주머니에 숨어 있건 당장 모습을 나타내렴./나는 절대 이렇게 말할 수 없으리./“이것 봐. 멀쩡하잖아, 결국 자기 잘못이라니까.”

시는 다음과 같은 구절로 끝난다.

“자, 스크린도어를 뒤로하고 어서 달려가렴./어머니와 아버지와 동생에게로 쌩쌩 달려가렴./누군가 제발 큰 소리로 ”저런!“ 하고 외쳐주세요!/우리가 지옥문을 깨부수고 소년을 와락 끌어안을 수 있도록.”

이 시는 구의역을 다녀간 누리꾼들이 사진을 찍어 온라인에 올리면서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가고 있다. 이 사진과 시가 게재된 페이스북에는 수백 건의 ‘좋아요’와 공감 댓글이 달렸다.

심보선 시인은 199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풍경’이 당선되면서 등단해 시집 ‘슬픔이 없는 십오 초’, ‘눈앞에 없는 사랑’ 등을 냈다. 사회학을 전공한 그는 시를 쓰면서 사회학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