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싱키에서 대서울을 생각하다

헬싱키에서 대서울을 생각하다

정영애 기자
입력 2019-04-30 17:58
업데이트 2019-04-30 17: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시덕의 대서울 이야기]

지난 달, 핀란드의 헬싱키 대학에서 서울에 대해 강연했다. 인구 63만명의 헬싱키 시민들에게 인구 2500만명의 수도권, 즉 대서울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서울시 송파구의 2010년도 인구가 64만명이니, 송파구 규모의 도시가 고민하는 문제와 서울시-대서울이 고민하는 문제는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절감했다. 그런 한편, 헬싱키 대학에서 한국학을 가르치는 앤듀 로기 선생과 함께 일주일간 헬싱키 시내 및 교외 지역을 찬찬히 살피면서 두 도시 사이의 몇 가지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미지 확대
첫 번째는 스웨덴과 러시아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한 핀란드의 시층(時層)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헬싱키의 삼문화광장”이었다. 헬싱키 항구의 광장에는 핀란드에 상당한 자치권을 부여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의 부인인 알렉산드라가 1833년에 이곳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는 비석이 서 있다. 헬싱키에서 가장 오래된 공공 기념물인 이 비석은 핀란드 독립 후에도 파괴되지 않았는데, 이 비석 바로 뒤에는 러시아에 앞서 핀란드를 지배한 스웨덴의 대사관이 자리하고 있다. 한국·일본·중화민국의 건물을 모두 볼 수 있는 명동이나 정동의 삼문화광장을 떠올리게 하는 공간이었다. 러시아인들이 묻힌 러시아 정교회 묘지와 핀란드의 국부(國父)인 만네르헤임 원수를 비롯한 스웨덴?핀란드인이 묻힌 히에타니에미 묘지가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자리하고 있는 광경도, 한국인·일본인·중국인 묘지가 공존하는 인천 부평의 시립승화원을 연상시켰다.
이미지 확대
이처럼 식민지 시기의 역사를 증언하는 유적은 헬싱키 곳곳에 남아 있었고, 스웨덴-러시아-핀란드의 세 문화는 대서울에서보다 좀 더 평화롭게 공존하는 듯 했다. 이는 여전히 스웨덴계 핀란드인이 사회의 상층부를 차지하는 한편, 소련-러시아의 위협이 이어져 온 핀란드의 파란만장한 근현대 역사를 반영하는 것이다.

한편 헤이몰란 탈로라는 이름의 건물도 서울의 조선총독부-중앙청-국립중앙박물관 건물과 비슷한 운명을 맞았다. 1910년에 완공된 헤이몰란 탈로는 1911~31년에 국회의사당으로 쓰였고, 1917년 12월 6일에는 이곳에서 독립선언서가 서명되었다. 핀란드의 건국을 상징하는 이 건물은 1969년의 어느 밤에 몰래 헐렸다. 혹시라도 보존운동이 일어날까 두려워해서 하룻밤 사이에 헐어버렸다고 하며, 이 사건에 충격을 받은 핀란드 시민들은 그 뒤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물을 보존하게 되었다고 한다.

서울의 조선총독부-중앙청-국립중앙박물관 건물은 1926년에 완공되어 45년까지 20년간 일본의 한반도 지배 거점으로 이용되었다. 경복궁 일부를 헐고 세워진 탓에 보존하기에는 위치가 너무 나빴다. 다만 아쉬운 것은, 헤이몰란 탈로와 마찬가지로 이 총독부 건물에서 1948년 5월 10일에 제헌국회가 열렸고, 1950년 9월 28일의 서울 수복 때에도 이 건물에 태극기가 휘날렸다. 그리고 1995년에 철거될 때까지 중앙청 및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쓰여 역사의 일부였다. 식민지 시대 20년이지만 현대 한국에서 50년이나 썼다.
이미지 확대
오늘날 조선총독부-중앙청-국립중앙박물관 건물의 자재 일부는 천안 독립기념관에 놓여 있다. 그곳에는 “조선총독부의 철거 부재를 폐허의 공간에 전시하여 우리민족의 자긍심을 느낄 수 있게 연출·전시”했다는 안내판이 서 있다. 한반도를 식민 통치한 일본인들을 군사적으로 몰아내지 못한 원한을 엉뚱하게 건물에 푸는 것이 한국 시민의 자긍심을 살리는 길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국인이 1948년 5월 10일 제헌국회 선거 포스터에 그려진 대한민국 건국의 현장을 더 이상 실물로 볼 수 없다는 점은 큰 아쉬움이다.

글 사진: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 교수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