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라 시대 승려들은 어떻게 살았을까…황룡사 ‘등잔’의 비밀

신라 시대 승려들은 어떻게 살았을까…황룡사 ‘등잔’의 비밀

김정화 기자
입력 2021-11-25 14:00
업데이트 2021-11-25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폐기물 구덩이서 등잔 150여점 발견
통일신라~고려 건물터, 배수로도 확인

황룡사지 서회랑 서편지구에서 새로 출토된 등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황룡사지 서회랑 서편지구에서 새로 출토된 등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신라 최고·최대 사찰로 알려진 경주 황룡사에서 통일신라시대 등잔이 무더기로 나왔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연차 발굴조사 중인 황룡사터 서회랑(西回廊) 서편지구에서 폐기물 구덩이에 묻힌 신라 등잔 150여 점을 찾아냈다고 25일 밝혔다. 사찰에서 불을 밝히던 등잔이 한꺼번에 매립되었다가 이번에 드러난 것이다.

등잔 지름은 10㎝ 안팎이며,제작 시기는 8∼9세기로 추정됐다. 황룡사에서는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이뤄진 발굴조사를 통해서도 많은 등잔이 발견됐으며,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도 백제 등잔 80여 점이 출토된 바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폐기물 구덩이에서는 주로 기와나 토기가 나오는데, 이번에 조사한 구덩이에는 특이하게도 등잔이 한꺼번에 묻혀 있었다”며 “구덩이는 건물터가 아닌 곳에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등잔을 일괄적으로 묻은 이유를 알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등잔 그을음에 대한 자연과학 분석도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황룡사지 전경.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황룡사지 전경.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이번 조사에선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조성한 것으로 짐작되는 건물터, 배수로, 담장터도 확인됐다. 조사단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땅이 높아진다는 사실과 함께 통일신라시대 건물터 위에 흙을 덮고 고려시대 건물을 건립한 양상이 드러났다”며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특정 공간이 변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지역인 황룡사 서회랑 서편지구는 사찰 운영시설이나 승려 생활공간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70∼1980년대 발굴조사 당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전신인 경주고적발굴조사단이 사무실로 사용해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소는 8700㎡에 달하는 이 지역에 대해 2018년부터 발굴 조사를 시작해 건물터와 배수로 등을 확인했고, 길이 6㎝인 금동봉황장식 자물쇠도 출토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