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인골 나온 부여 응평리 백제 무덤 주인은 지방관료”

“인골 나온 부여 응평리 백제 무덤 주인은 지방관료”

김정화 기자
입력 2022-01-21 10:54
업데이트 2022-01-21 1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여 응평리 석실묘 긴급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제공
부여 응평리 석실묘 긴급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제공
지난해 경지 정리 과정에서 발견된 충남 부여 응평리 백제 횡혈식 석실묘(橫穴式石室墓·굴식 돌방무덤)에 묻힌 인물은 지방관료나 수장층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1일 공개한 부여 초촌면 응평리 석실묘 긴급 발굴조사 보고서에서 “석실묘 위계는 최상위는 아니지만 중위에서도 비교적 높은 단계”라며 이같이 밝혔다. 응평리 석실묘는 백제 사비도읍기(538∼660)에 도읍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성곽인 나성(羅城)에서 동쪽으로 7.3㎞ 떨어진 곳에 있다.

도굴 흔적이 확인되지 않은 무덤 내부에서는 두개골을 비롯한 인골과 금동제 귀걸이, 목관 재료 등이 출토됐다. 무덤방 크기는 길이 220㎝, 너비 110㎝, 높이 115㎝로 조사됐다. 조사단은 두 명에 해당하는 인골과 목관 두 기가 나왔고,묘도(무덤 입구에서 시신을 두는 방에 이르는 길) 흙을 두 차례 파낸 흔적이 있어 시신을 매장한 뒤 추가로 시신을 넣은 것으로 분석했다.
부여 응평리 석실묘 전경. 문화재청 제공
부여 응평리 석실묘 전경. 문화재청 제공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석실묘 근처에서 더 많은 고분이 확인된다면 특정 씨족 묘역일 가능성이 있다”며 “단독으로 축조된 경우라면 관리가 부임지에서 매장됐거나 출신지에 무덤을 마련한 ‘귀장’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동쪽 목관과 서쪽 목관은 부속 도구 형식과 목재 두께에서 차이가 난다”며 “서쪽에 매장된 사람은 금동제 귀걸이를 착용하고 있어 동쪽 사람보다 위계가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매장 시기와 관련해선 무덤의 구조적 특징과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6세기 말에 1차로 사람을 묻은 뒤 7세기 초에 추가로 장례를 했다고 봤다.

김정화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