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문화가정 보유 도서 ‘10권 미만’ 36.6%

다문화가정 보유 도서 ‘10권 미만’ 36.6%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03-01 12:36
업데이트 2023-03-01 1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다문화가정 내 보유 도서 권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제공
다문화가정 내 보유 도서 권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제공
다문화가정의 40% 이상이 “독서를 좋아한다”고 밝혔지만, 가정 내 보유 도서가 10권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국으로 이주 후 독서가 좋아진 이유로는 ‘한국어 공부가 되어서’라고 답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다문화가정 독서실태 조사 및 독서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홈페이지에 최근 게재했다. 10세 이상 전국 다문화가정 가구원 262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면접 조사한 결과다. 가정 유형은 ‘결혼 이민 가정’이 51.4%, ‘기타 이주민 가정’ 39.7%, ‘기타 귀화 가정’ 8.9% 순이었다.

다문화가정 가구원들의 독서 선호도는 ‘좋아한다’가 44.3%로 가장 높았다. 이어 ‘보통’ 39.7%, ‘싫어한다’ 16.0% 순이었다. 가장 좋아하는 독서 방식은 종이책이 61.2%, 전자책 21.1%, 웹소설 12.3%, 오디오북 5.3%였다.

반면 다문화가정 내 도서 보유 권수는 ‘10권 미만’이 3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권 이상 50권 미만’ 28.5%, ‘50권 이상 100권 미만’ 21.6% 등의 순이었다.

독서 빈도는 ‘1주일에 1~2회’가 27.4%로 가장 높았다. ‘전혀 하지 않음‘ 25.0%, ‘1개월에 1~2회’ 18.4% 순이었다. 좋아하는 책 분야는 ‘소설’이 23.4%로 가장 높았고, ‘역사·지리’ 6.5%, ‘가정·육아·요리’ 6.4% 등으로 이어졌다.

책을 읽는 이유를 묻자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으려고’(18.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교양과 상식을 쌓으려고’(13.6%), ‘자녀의 독서에 도움을 주려고’(11.0%) 등의 순이었다.

다만 가정 유형별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결혼 이민 가정에서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으려고’(19.0%) 및 ‘책 읽는 것이 즐겁고 습관이 되어서’(10.3%), 귀화 가정에서 ‘자녀의 독서에 도움을 주려고’(18.4%), ‘교양과 상식을 쌓으려고’(16.5%), ‘한국 문화를 알기 위해서’(10.7%)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주민 응답자의 23.7%가 한국으로 이주 후 독서가 좋아졌다고 답했는데, 그 이유로 ‘한국어 공부가 되어서’가 48.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기계발을 위해서’ 36.2%, ‘도서관 환경이 좋아서’ 30.3%, ‘읽기 좋은 책이 많아서’ 26.6%, ‘아이 교육과 관련되어서’ 24.3% 등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귀화 가정에서 ‘아이 교육과 관련되어서’(50.0%)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미지 확대
책 읽기를 어렵게 만드는 이유에 대한 응답.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제공
책 읽기를 어렵게 만드는 이유에 대한 응답.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제공
독서가 싫어진 이유로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가 8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37.4%, ‘모국어책을 구하기 어려워서’ 20.9%, ‘한국어책 읽기가 어려워서’ 20.0% 순이었다.

책 읽기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는(복수응답) ‘일·공부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가 55.8%로 가장 높았고, ‘책 이외 다른 매체 이용(스마트폰 등)’이 42.9%, ‘책 읽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 25.3% 등 순이었다. ‘한국어책 읽기가 어려워서’라는 응답 비율은 12.5%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집 근처에 도서관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없다’가 42.9%, ‘있다’가 31.2%였다. ‘모르겠다’는 응답도 25.9%나 됐다. 다문화가정 가구원의 연간 도서관 이용률은 43.1%였다. 가정 유형별로 결혼 이민 가정 57.7%, 기타 귀화 가정 49.6%, 기타 이주민 가정 22.9%였다.

책과 더 가까워지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묻자 ‘좋은 책에 관한 다국어 정보 제공’이 1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좋은 다국어 도서 지원’ 10.3%, ‘독서 관련 행사·활동’ 9.2%, ‘단계별 한국어책 읽기 교육’ 8.5%이 뒤를 이었다.

연구진은 이와 관련 “독서환경이나 독서실태가 열악한 이들을 위한 독서정책을 강화하고 맞춤형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독서 능력과 환경 차이에 따른 대상자별 정책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도서관이 다문화 커뮤니티 플랫폼이나 정보 채널을 활용하는 노력을 함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