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동물 아닌 사람에 “무지개다리 건너셨네”… 문해력 논란? [넷만세]

동물 아닌 사람에 “무지개다리 건너셨네”… 문해력 논란? [넷만세]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06-27 10:30
업데이트 2023-06-27 1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려동물 죽음 일컫는 ‘무지개다리’
1980년대 작자 미상의 시에서 유래
“친구 부모님…” 사연에 비판 쇄도
“처음 듣는 표현” 반응도 적지 않아
‘1500만명 육박’ 반려인구 급증하며
동물에 사람처럼 ‘명’ 등 표현도 늘어


이미지 확대
무지개 자료 이미지. 123RF 제공
무지개 자료 이미지. 123RF 제공
반려동물을 키우는 반려인구가 1500만명에 육박한 요즘, 생활 속 언어에도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하는 표현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인 ‘무지개다리’를 두고 최근 온라인상에서는 적절한 사용법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온라인 커뮤니티 ‘인스티즈’에 지난 23일 올라온 ‘친구 부모님이 돌아가셨는데’라는 제목의 글이 이번 문해력 논란의 발단이 됐다.

글쓴이 A씨는 이 글에서 “‘무지개다리 건너셨구나’라고 말했다가 (친구로부터) 욕먹었다”며 “난 정말 좋은 뜻인 줄 알았다. 하늘나라로 잘 가셨다는 뜻으로. 친구를 위로하려던 말인데 친구가 화내서 마음이 아프다”고 적었다.

이 사연이 실제로 있던 일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무지개다리라는 표현에 대한 네티즌들의 생각이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다수의 네티즌들은 A씨를 ‘무지함’을 비난했다.

지난 26일 ‘더쿠’에서는 관련 글에 “무식해서 몰랐다고 백배 사죄하는 수밖에”, “이런 것도 구분 못할 만큼 상식이 없나” 등 비판이 나왔다.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부모님 돌아가셨을 때 요단강 건너셨다고 하면 좋겠나”(보배드림), “부모님이 왜 개가 됐나”(에펨코리아), “무지는 죄다”(이종격투기) 등 사람에게 썼을 때 비난받아 마땅한 표현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이미지 확대
강아지 자료사진. 픽사베이 제공
강아지 자료사진. 픽사베이 제공
하지만 무지개다리라는 표현을 처음 들어본다는 반응이 커뮤니티마다 나오기도 했다. 일상적으로 사용된 역사가 길지 않은 표현으로, 특히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아닌 경우 접할 일이 많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일부 네티즌들은 “악의가 있는 게 아니고 정말 몰랐던 건데 이번에 알게 됐으면 된 거다”(웃긴대학), “욕하기 전에 내 자식들 먼저 가르치자”(보배드림) 등 A씨를 옹호하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무지개 다리를 건너다’라는 관용적 표현은 죽음을 완곡하게 표현한 말로 주로 반려동물의 죽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1980년대 미국 또는 영국에서 만들어진 작자 미상의 시에서 나온 표현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미권에서 먼저 쓰이기 시작한 뒤 세계 각국으로 퍼진 것으로 전해진다.

국어사전에서도 ‘무지개다리’를 찾을 수는 있지만 ‘구조물의 주체가 아치로 만들어진 다리’, ‘전설에서, 선녀들이 하늘에서 땅으로 타고 내려왔다고 하는 다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 뜻으로 나와 있어 현재 반려동물의 죽음을 일컫는 관용 표현과는 차이가 있다.

해당 영미권 시를 보면, 지상에서 사람과 가깝게 지내던 동물은 죽으면 무지개다리를 건넌다고 한다. 다리 건너에는 풍부한 음식과 따뜻한 햇살 등이 있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데 단 한 가지, 특별한 사람에 대한 그리움은 남는다고 한다. 그러다가 훗날 주인이 죽으면 반려동물과 만나 서로 다시는 떨어지지 않을 것을 약속하고 함께 무지개다리를 건넌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서울 캣쇼를 찾은 참관객들이 고양이 용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2023.4.30 연합뉴스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서울 캣쇼를 찾은 참관객들이 고양이 용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2023.4.30 연합뉴스
시 내용을 문자 그대로 보자면, 결국에는 사람도 무지개다리를 건너기 때문에 반드시 반려동물의 죽음에만 이 표현이 한정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다만 이때 사람의 죽음은 반려동물과 관련돼 있다는 점에서 모든 사람의 죽음에 적용하기는 힘들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최근 자주 쓰이는 무지개다리의 경우 유래인 시를 굳이 의식하지 않고 관용 표현으로 쓰이고 있다.

국어사전에 나오지 않는 비교적 신조어이기에 ‘심심한 사과’, ‘사흘·3일’ 등 앞선 문해력 논란들과는 차이가 있기도 하다.

다만 반려인구가 늘고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언어 사용에서도 사람과 동물의 경계가 흐려지는 추세다. 반려동물을 ‘아들’, ‘딸’로 부르거나 동물의 ‘새끼’를 ‘아기’로 흔히 표현하는 경우가 그 예다. 일부 동물권단체 등에서는 개·고양이를 세는 단위로 ‘마리’ 대신 사람처럼 ‘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향후 동물에 관련된 표현을 실생활에서 적절하지 않게 사용했을 때 무지개다리 논란 같은 사례가 늘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넷만세] 네티즌이 만드는 세상 ‘넷만세’. 각종 이슈와 관련한 네티즌들의 생생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습니다.
이미지 확대
이정수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