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로 재현한 종묘제례, 활짝 열린 망묘루

레고로 재현한 종묘제례, 활짝 열린 망묘루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4-05-17 11:01
업데이트 2024-05-17 1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종묘 향대청 지오실에 전시된 콜린 진 작가의 ‘레고 오향친제반차도’. 연합뉴스
종묘 향대청 지오실에 전시된 콜린 진 작가의 ‘레고 오향친제반차도’. 연합뉴스
17일 국가유산청 출범을 맞아 종묘의 향대청 전시관이 재개관했다. 향대청 옆 망묘루 내부도 한시적으로 특별 개방된다. 종묘 향대청은 종묘제례 때 사용하는 향과 축문, 폐백을 보관하고 제례를 진행하는 제관들이 대기하던 장소다. 망묘루는 조선시대 종묘 관리를 담당했던 관서인 종묘서(宗廟署)가 있던 건물로, 제례를 지내러 온 국왕이 이곳에서 선왕을 추모하며 남긴 글을 현판으로 만들어 걸어두기도 했다.

종묘 향대청 전시관은 종료제례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드오’실과 ‘지오’실 두 개로 구성된다. 세계유산 종묘를 주제로 한 ‘드오’실에서는 실제처럼 구현한 태조 신실 공간과 종묘의 주인인 신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담은 그림책이 전시된다. 인류무형유산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을 다루는 ‘지오’실에서는 레고 작가 콜린 진이 제작한 ‘레고 오향친제반차도’(五享親祭班次圖)가 눈길을 끈다. 국왕이 직접 종묘제례를 지낼 때 각 참여자들의 자리 배치를 그린 반차도를 토대로 왕과 왕세자, 제관들, 악대와 무용수 등 209명의 인물과 26종의 악기를 레고 조각 2만 1000개로 재현했다.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전승자들의 인터뷰 영상도 볼 수 있다. 전시관은 상설 운영된다.

이미지 확대
향대청 옆  망묘루. 연합뉴스
향대청 옆 망묘루. 연합뉴스
향대청 옆 망묘루는 이날부터 6월 30일까지 내부를 개방한다. 조선시대 종묘서부터 오늘날의 종묘관리소에 이르기까지 종묘를 가꾸고 관리하는 유산관리자들의 이야기를 조명한다. 누마루에 올라 종묘 전경을 조망하고, 종묘 정전 모형을 조립하는 체험 프로그램도 즐길 수 있다.

이순녀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