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몇 한국 배우 당장 데려가고 싶을 정도”

“몇몇 한국 배우 당장 데려가고 싶을 정도”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 도시 이야기’ 주연 제임스 바버 연출자로 방한

영국의 대문호 찰스 디킨스의 명작을 바탕으로 한 뮤지컬 ‘두 도시 이야기’는 선 굵은 비장미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프랑스 혁명기에 영국과 프랑스를 오가며 펼쳐지는 한 남자의 숭고한 사랑과 희생이 당시 유럽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의상과 소품, 무대장치로 생생하게 펼쳐진다.

이미지 확대
제임스 바버
제임스 바버
이번 공연에서 화제가 되는 부분 중 하나는 연출을 맡은 제임스 바버(47)가 2008년 브로드웨이 초연 당시 주인공 시드니 칼튼 역을 맡았던 배우라는 사실이다. ‘미녀와 야수’, ‘제인 에어’ 등 다수의 뮤지컬에 출연한 스타 배우이자 뮤지컬과 콘서트 제작자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그를 최근 귀국 직전 서울 충무로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는 ‘두 도시 이야기’의 초연을 4년 앞둔 2004년 시드니 칼튼 역에 캐스팅돼 제작 과정에 동참했다. 공연 몇 달 전 주연 배우들을 캐스팅하고 깜짝 발표해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는 우리나라와 다른 듯하다. “브로드웨이에서는 제작 초기 단계부터 배우가 캐스팅돼 무대에 올리기까지 언론 홍보, 펀딩, 투자자 모집 등의 모든 과정을 함께 합니다. 작품 하나가 브로드웨이 무대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거치면 배우와 스태프들이 한 가족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 작품의 연출을 맡는 것, 한국에서 뮤지컬을 연출하는 것 모두 처음이다. 그가 연출자로서 가장 생생하게 실감하는 것은 한국과 미국 브로드웨이의 차이점이다. “브로드웨이에서는 한국과 같은 더블 캐스팅이 없어요. 한 배역을 맡으면 1주일 중 하루만 빼고 매일 무대에 오르면서 작품을 위해 헌신합니다. 또 인터미션(1막과 2막 사이 휴식시간)이 미국은 길어야 15분인 반면 한국은 20분씩이나 돼요.”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초연된 작품을 새롭게 다듬는 과정에서도 이 같은 두 나라의 차이를 고민해야 했다. 특히 인터미션이 길다는 점에 주목했다. “인터미션이 길면 공연 시간도 길어집니다. 공연의 페이스를 바짝 당겨야 관객들이 처지지 않고 집중해서 몰입할 수 있어요.” 때문에 지난해보다 공연 시간을 20분 줄였고, 밀도 있는 스토리로 속도감을 냈다.

그에게 우리나라의 뮤지컬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물었다. “공연장의 시설 수준, 배우들의 실력, 제작자들의 능력은 ‘인크레더블’합니다. 몇몇 배우들은 영어만 할 수 있다면 당장 브로드웨이로 데려가고 싶어요.” 그는 자신의 트위터에 마담 드파르지 역할의 배우 신영숙이 노래하는 동영상을 올리며 극찬하기도 했다.

뮤지컬 시장의 현주소에 대한 뼈 있는 조언도 잊지 않았다. “한 시즌에 많은 작품이 공연되고 관객들이 행복한 고민에 빠지는 것을 보면 한국 뮤지컬 시장의 성장세가 실감됩니다. 하지만 지나친 급성장은 바람직하지 않아요. 시장 자체가 한꺼번에 무너질 수 있거든요. 딱 지금의 수준을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8월 11일까지 서울 샤롯데시어터. 6만~13만원. 1577-3363.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07-15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