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처럼 살기 싫다던 네 모녀, 다른 듯 닮은 삶

엄마처럼 살기 싫다던 네 모녀, 다른 듯 닮은 삶

입력 2013-09-06 00:00
업데이트 2013-09-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극 ‘엄마가 절대 하지 말랬어’

엄마는 스무살에 사랑에 빠지고 덜컥 아이를 가졌다. 그렇게 태어난 딸도 10대 때 유부남과 사랑을 나눴다. 엄마는 이혼의 아픔을 겪었고 딸은 홀로 아이를 낳았다. 다른 듯 닮은 삶을 살게 된 모녀는 그렇기 때문에 서로를 이해하지 못했다. 엄마는 딸이 자신보다 나은 삶을 살기를, 딸은 엄마처럼 살지 않기를 바랐다. 하지만 인생은 뜻대로 되지 않고 모녀의 감정은 애(愛)와 증(憎)을 오간다.


연극 ‘엄마가 절대 하지 말랬어’는 누구보다 사랑하면서도 서로 갈등하고 뒤틀리는 엄마와 딸의 복잡한 관계를 파고든다. 영국의 극작가 샬롯테 키틀리의 데뷔작으로 1987년 맨체스터에서 초연했다. 도리스(1900년생)와 마거릿(1931년생), 재키(1952년생), 로지(1971년생) 등 4세대에 걸친 여성의 삶을 당시의 시대상과 맞물려 섬세하게 그려낸다.

작품은 도리스의 딸인 마거릿, 마거릿의 딸인 재키, 또 로지의 엄마가 된 재키를 교차해 보여준다.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 도리스는 딸 마거릿을 엄격하게 키우지만, 마거릿은 스무살 어린 나이에 미군 남성과 사랑에 빠져 결혼한다. 마거릿은 직장 일과 뒤이은 유산으로 재키를 도리스에게 맡기고, 이때 생긴 재키와의 간극은 갈수록 커지기만 한다. 재키는 유부남과의 철없는 사랑으로 로지를 낳고는 마거릿에게 맡긴다. 더 이상 로지에게 엄마가 될 수 없는 재키와, 남편과 이혼하고 로지에게 집착하는 마거릿은 갈등 속에서 절망과 상실을 경험한다.

엄마와 딸의 삶은 20여년의 간극만큼이나 다르다. 평범한 삶을 바랐던 도리스와 낭만을 꿈꿨던 마거릿, 반항심으로 가득했던 재키와 ‘섹스 피스톨스’로 대변되는 새로운 세대인 로지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엄마와 딸은 다를 수밖에 없음을, 자꾸만 밀어내려 하지만 사실은 기다리고 이해해야 함을 이들은 뒤늦게야 깨닫는다.

작품 속 여성들의 삶은 20세기 영국과 미국의 시대적 흐름과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흘러간다. 제2차 세계대전, 1969년의 우드스탁 페스티벌, 1981년 영국의 미사일기지에 맞선 여성들의 ‘평화캠프’ 등이 밑바탕에 스며들어 있다. 도리스는 전쟁의 공포 속에서 딸에게 헌신한 전통적 여성이며, 재키는 1960년대말 대학에서 반항정신을 키웠다.

이들 역사적 지식을 어느 정도 안다면, 4세대에 걸친 여성들의 삶을 20세기 여성사(史)로 끌어올린 작가의 통찰력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지 않은 이들에게는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대사들이 전후맥락 없이 어렵게 들릴 수 있다. 윤예인, 이정미, 정재은, 노현주 등 어린 아이에서 멀게는 증조할머니까지 60년의 세월을 오가는 배우들의 연기는 일품이다. 공연시간은 인터미션 없이 2시간 30분이다. 15일까지 서울 대학로 설치극장 정미소. 전석 2만 5000원. (070)4355-0010.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09-0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