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연기에 미쳐 있습니다”

“미친 연기에 미쳐 있습니다”

입력 2013-12-02 00:00
업데이트 2013-12-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일 명동예술극장서 막 올리는 연극 ‘햄릿’의 정보석·전경수

배우 정보석(51)은 연극 ‘햄릿’을 시작하면서 “미쳐서 햄릿을 하고 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일주일 전에 만났을 때 그는 “지금껏 한 번도 써보지 않은 모든 힘을 쓰느라 컨디션이 정상이 아니다”라고 토로했었다. 다시 만난 자리에서는 한결 밝아진 표정이었지만, 격렬한 몸짓을 연습하다가 허리와 어깨를 다쳤다고 털어놓았다. 오필리어 역의 배우 전경수(30)도 마찬가지. 극적인 순간들을 몸으로 묘사하기 위해 이리저리 부딪치다 보니 크고 작은 멍들이 여기저기 생겼다.

오는 4일 막을 올리는 연극 ‘햄릿’에서 햄릿을 연기하는 정보석(오른쪽)과 오필리어 역의 전경수. 고전에 담긴 철학적 고민 위에 입체적인 인물 해석을 더해 현대 젊은이들의 자화상을 그려낼 예정이다. 명동예술극장 제공
오는 4일 막을 올리는 연극 ‘햄릿’에서 햄릿을 연기하는 정보석(오른쪽)과 오필리어 역의 전경수. 고전에 담긴 철학적 고민 위에 입체적인 인물 해석을 더해 현대 젊은이들의 자화상을 그려낼 예정이다.
명동예술극장 제공
셰익스피어의 비극 ‘햄릿’은 지금까지도 두고 두고 재해석되는 고전이다. 시대에 걸쳐 문학가와 철학자, 심리학자들은 복수를 결심하고도 끊임없이 갈등하고 고뇌하는 햄릿의 심리를 분석하며 당대 젊은이들의 모습을 그에게 비춰보곤 했다. 우유부단하고 감성적인 패배자였든, 치밀한 판단력이 빛나는 전략가였든 분명 햄릿은 그를 둘러싼 세상의 모순 속에 인간의 근원적인 고통을 마주했던 모든 이들의 자화상이다.

오는 4일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막을 올리는 연극 ‘햄릿’은 현대 젊은이들과 햄릿의 접점을 그려낼 예정이다. 햄릿은 현대식 정장을 입고 무대 위에 걸린 수많은 거울들을 바라본다. 원작의 줄거리와 주제의식에 충실하면서도 다소 명료하지 않았던 장면과 장면 사이의 연결고리들을 복원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 햄릿의 고뇌와 오필리어의 정신적 붕괴는 젊은 관객들이 보다 공감할 수 있도록 윤색됐다.

정보석에게 햄릿은 ‘외로움’ 그 자체다. “‘햄릿’에는 믿었던 사람들이 어느 순간 모두 떠났을 때 느끼는 외로움이 진하게 묻어납니다. 사람들과 더불어 살려는 욕심이 있지만 점점 고립돼가는 느낌 말이죠.” 그가 그려낼 햄릿은 시공간과 시대를 초월한 외로운 한 인간이다. “햄릿이 처한 시대적 배경이나 문학가들의 해석 같은 건 다 지워냈어요. 그저 살고 싶어서 몸부림치는 사람 그 하나에만 집중했습니다.”

마냥 순종적이고 여리기만 했던 오필리어는 전경수의 몸을 빌려 보다 주체적인 캐릭터로 변모한다. 자의식이 뚜렷하고 능동적인 오필리어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갑작스레 미쳐버린 그의 사연에 설득력을 부여한다. “그저 꽃을 들고 나와서 예쁜 척하다 들어가면 될 줄 알았는데 후회하지 않냐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저 역시 고민도 많이 하고 힘들었지만, 제가 만들어가는 새로운 오필리어라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정보석은 1986년 데뷔해 브라운관과 스크린, 연극 무대를 누벼온 관록의 배우다. 그에게 햄릿은 30년 연기 인생의 꿈이었다. 그는 “막상 연습을 시작하니 꿈은 그냥 꿈으로 두고 살았어야 했다는 부담이 크다”면서도 “그 부담을 안고 도전함으로써 내 속에 꺼지지 않는 불꽃을 발견하게 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전경수는 뮤지컬 ‘햄릿’(2009)에서 오필리어를 연기한 경험이 있다. 연극 ‘옥탑방 고양이’, ‘미친 키스’ 등에서 청순한 매력 속 단단한 내면을 보여줬던 그는 깨끗하고 여려보이는 외모가 ‘한눈에 봐도 오필리어’(정보석)라는 평가를 듣는다. 하지만 그는 “전형적인 오필리어 같은 배우가 그렇지 않게 표현하는 묘미가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연극은 ‘넌 누구냐?’로 시작한다. 햄릿을 분노에 떨게 만든 죽은 아버지의 영혼이 등장한 그 순간이 작품 전체의 주제의식을 관통한다. “연극을 통해 관객들이 ‘넌 누구냐?’라는 질문을 고민해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살아지기 때문에 살아야 하는 삶을, 우리는 우리의 의지대로 살아야 하니까요.”(정보석) “햄릿도 오필리어도 가족과 사랑, 사회에 대한 고민으로 고통받고 인생을 배워갑니다. 지금의 젊은이들과 똑같은 고민을 했던 이들을 통해 관객들이 해답을 찾았으면 합니다.”(전경수) 4일부터 29일까지 서울 명동예술극장. 2만~5만원. 1644-2003.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12-02 2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