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참을 봤다, 못보던 곳을 봤다

한참을 봤다, 못보던 곳을 봤다

입력 2013-12-04 00:00
업데이트 2013-12-04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 사진 거장 히로시 스기모토 국내 개인전

“내 카메라에는 무한대(∞) 표시가 없습니다. 떼어 버리니 초점은 흐려졌지만 실제 모습 이상을 담을 수 있더군요.”
히로시 스기모토가 1978년 찍은 ‘극장’ 연작의 ‘플레이하우스’. 영화 상영시간 내내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켜 스크린을 빛나는 백색 공간으로 표현했다. 삼성미술관 리움 제공
히로시 스기모토가 1978년 찍은 ‘극장’ 연작의 ‘플레이하우스’. 영화 상영시간 내내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켜 스크린을 빛나는 백색 공간으로 표현했다.
삼성미술관 리움 제공


백발로 뒤덮인 정장 차림의 노년 신사는 막힘이 없었다. 어떤 질문을 던지더라도 술술 답이 나왔다. “보여지는 게 다 보는 것은 아니다”(사진이란?), “다른 생명체와 인간을 구분하는, 자의식에서 나온 감각”(예술이란?), “사진 자체가 ‘개념미술’ 아닌가”(개념미술이란?)라며 질문을 압도했다.

3일 한국을 찾은 일본의 사진 거장 히로시 스기모토(65)의 이야기다.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워싱턴 스미스소니언 아서 M 새클러갤러리, 독일 구겐하임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열며 40년 가까이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고집해 온 작가다. 사진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핫셀블라드상(2001년)도 받았다.

작가는 5일부터 내년 3월 23일까지 서울 용산구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대규모 개인전을 연다. 전시에선 사진 외에도 조각설치, 영상 등 49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곽준영 리움 책임 큐레이터는 “작가가 다양한 영역을 넘나드는 것은 그만큼 예술의 장벽이 허물어졌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 중 사진 작품은 19세기 대형 카메라와 전통 인화 방식을 고집한 것들이다. 장인 기술과 인간 삶·의식의 기원을 탐구하는 깊이 있는 사유를 엿볼 수 있다. 젤라틴 실버 프린트를 이용한 흑백사진이란 대목에선 현대사진의 선각자로 평가받는 로버트 프랭크나 ‘소나무 작가’로 알려진 배병우를 떠올리게 한다. 배병우의 작품에 대해 물었더니, “생각해 보지 않았다(웃음). 배병우는 좋은 작가다. 둘 다 기술적으로 마스터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답이 돌아왔다. 그는 재일 미술가인 이우환과 친분이 있다고 했다.
日 사진 거장 히로시 스기모토
日 사진 거장 히로시 스기모토


작가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주제와 흑백사진의 표현에 천착해 왔다. 1975년 이후 찍어 온 ‘극장’ 연작은 영화가 상영되는 동안 카메라 셔터를 열어 놓고 극장 내부를 촬영한 작품들이다. 정작 중앙에 놓인 스크린은 과도한 노출로 하얗게 변했지만, 평소 사람들의 시선을 받지 못했던 극장 내부는 사소한 디테일까지 선명하게 드러난다.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역전시켜 시간과 공간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태곳적 사람들도 봤던 똑같은 풍경을 고민하다 내린 결론은 ‘바다풍경’(1980년~)이다. 세계 곳곳을 떠돌며 사흘씩 같은 자리에서 촬영해 얻어 낸 작품들이다. 구겐하임미술관의 지원으로 제작된 ‘초상’ 연작(1999년~)에는 헨리 8세와 6명의 부인 등 중세의 인물 모습이 담겼다. 초상화를 토대로 19세기 제작된 밀랍인형을 촬영한 작품들이다. 작가는 “19세기 촬영 방식을 고집하는 마지막 작가가 되고 싶다”면서 “생명이 없는 곳에 생명을 불어넣는 사진가로 기억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2-04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