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에 담은 설악산 속 깊은 이야기

한지에 담은 설악산 속 깊은 이야기

함혜리 기자
입력 2016-02-14 17:28
업데이트 2016-02-14 17: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힐링이 필요한 날, 사진전

임채욱 ‘인터뷰 설악산’ 전시

설악 존재의 의미와 가치부터 ‘케이블카 설치’ 우려까지 전해

이미지 확대
설악산은 한국을 대표하는 자연유산이다. 한국인에겐 산 이상의 그 무엇을 상징하는 설악의 위용을 카메라에 담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사진가 임채욱(46)의 ‘인터뷰 설악산’전이 서울 종로구 인사동 아라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다.

임채욱 사진가
임채욱 사진가
서울대 동양화과를 나온 그는 붓으로 표현하는 작업의 한계를 느끼고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2008년 다큐멘터리 풍경사진에 색을 입힌 ‘마인드 스펙트럼’ 연작을 발표했다. 특히 액화천연가스(LNG)기지를 드러낸 강원 삼척 월천리 솔섬 사진으로 명성을 얻었다. 지리산 종주를 하던 중 산의 정기에 매료된 그는 지리산, 인왕산, 설악산 등을 촬영했다. 누구나 찍을 수 있는 산 사진을 자신만의 감성으로 표현하기 위해 그는 한지에 인화하는 방법을 연구했고 전주 한지업체와 함께 보푸라기가 없고 발색이 좋은 두루마리형의 인화용 한지를 개발해 작업에 쓰고 있다.

그가 동양화에서 출발해서인지, 한지에 프린트를 해서인지 설악산 사진들은 하나같이 한 폭의 아름다운 산수화를 보는 듯하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겸재 정선의 스승이었던 삼연 김창흡(1653~1722)이 남긴 설악의 아름다움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구름 위로 솟아오른 바위들, 설악산의 강직한 뼈대를 드러낸 파노라마 사진, 눈 덮인 계곡의 소나무들을 담은 사진들은 그 적멸의 아름다움까지도 품고 있다.

이제까지 세상에 드러나지 않았던 설악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보여 주는 전시는 ‘설악이 열리다’, ‘설악에 들다’, ‘설악이 펼치다’, ‘설악, 아름다움에서 무한으로’ 등 4부로 구성돼 있다. 1부에서는 설악의 관문인 울산바위와 내설악과 외설악의 경계인 공룡능선의 운해를 마주하며 설악이 마음을 열어 주길 기다린다. 2부에서는 설악의 속으로 더욱 깊숙이 들어간다. 추상과 구상이 어우러지는 가운데 설악의 선과 면이 펼쳐지는 3부를 지나 용아장성을 배경으로 설악의 정기가 모이고 소용돌이치며 흩어지는 봉정암에 이르는 4부에서는 설악의 아름다움이 무한의 경지로 나아감을 보여 준다.

하지만 정작 작가가 원하는 건 예술로서의 사진보다는 시대의 메시지를 담는 사회적인 미디어로서 사진을 보여 주는 것인 듯하다. 올 6월부터 시작될 케이블카 설치 공사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봉정암 부처바위의 대형 사진을 입체적으로 전시해 깊은 우려를 표현했다. 작가는 설악이 간직한 역사적, 자연적 의미를 더욱 설득력 있게 보여 주는 영상물들을 꼭 볼 것을 권한다. 기도밖에는 달리 할 것이 없어 봉정암을 기어오르는 불자들의 심정처럼 예술가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이렇게 작품을 통해 항변하는 것이기에. 전시는 3월 24일까지 이어진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2-15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