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방에서 예술로… 조선시대 도자 제기의 모든 것

모방에서 예술로… 조선시대 도자 제기의 모든 것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8-02 20:42
업데이트 2016-08-02 2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박물관 테마전 개막…118점 모아 연대순으로 조명

도자로 만든 조선시대 제기(祭器)를 총체적으로 조명하는 테마전 ‘흙으로 빚은 조선의 제기’가 2일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테마전시실에서 개막했다.

이미지 확대
17세기 백자 제기.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17세기 백자 제기.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 측은 “도자 제기를 주제로 조선시대 제작된 도자 제기 118점을 한데 모은 전시는 처음”이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유교문화 확산과 함께 도자 제기 사용층이 왕실에서 향교, 사대부까지 넓어지면서 도자 제기가 어떤 식으로 변모해 가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기는 제례에 사용되는 그릇이다. 예부터 금속, 나무, 도자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됐다. 조선시대 들어 금속 부족으로 도자 제기가 많이 만들어지면서 도자 제기는 조선의 예(禮)의 상징이자 예술품으로 자리잡게 됐다.

전시는 3부로 이뤄졌으며, 조선의 도자 제기를 연대순으로 전기(15∼16세기 중반), 중기(16세기 후반∼17세기), 후기(18∼19세기)로 나눠 보여준다. 처음에는 금속 제기나 목제 제기를 본떠 만들어졌던 도자 제기가 점차 독특한 양식으로 발전해 가는 양상을 조명한다.

1부는 도자 제기가 금속 제기를 대체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제기 제작 교본인 제기도설(祭器圖說)에 나오는 금속 제기를 모방해 만든 상감분청사기 제기와 백자 제기 등이 전시됐다. 특히 15세기 전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눈(黃目) 구름무늬 준(尊·술이나 물을 담는 그릇) 모양 제기’와 ‘연꽃무늬 조(俎·고기를 얹는 그릇)’는 일반에 최초로 공개됐다.

2부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향촌 사회에서 제사가 성행하면서 제작된 백자 제기에 초점을 맞춘다. 당시 백자 제기는 장식이 과감하게 생략되고 문양이 점차 단순해졌으며, 삼각형이나 반타원형 무늬를 파낸 굽과 세로 톱니무늬 장식이 특징이다.

3부에선 비례가 아름답고 정결한 백색을 띠는 백자 제기들을 만날 수 있다. 이 시기 제기들은 굽이 높은 점이 특색으로, 청화(靑花) 기법으로 ‘제’(祭)자를 새겨 넣기도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선의 도자 제기는 모방에서 출발해 점차 독창적인 면모를 띠다가 새로운 형태의 예술품이 됐다”며 “도자 제기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인데, 이번 전시를 계기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뤄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시는 오는 10월 23일까지 이어진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8-03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