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2막 꿈꾼다면 뮤지컬로 도약하라

인생 2막 꿈꾼다면 뮤지컬로 도약하라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6-10-16 17:24
업데이트 2016-10-16 19: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연 뮤지컬로 배우 이태성·박성웅… 가수 양파·손승연 데뷔

멀티 엔터테이너의 시대가 열린 지 오래지만 올해 하반기 뮤지컬 무대에선 유독 익숙한 가수와 배우들의 얼굴을 많이 볼 수 있을 전망이다. 뮤지컬 무대에 데뷔하는 가수와 배우들이 유독 많기 때문. 뮤지컬은 배우의 가창력은 물론 스타성이 티켓파워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만큼 인기 가수나 배우들에게는 인생 2막을 여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미지 확대
‘보디가드’ 양파
‘보디가드’ 양파
이미지 확대
‘보디가드’ 손승연
‘보디가드’ 손승연
●실력파 가수 주크박스 뮤지컬 선택

가수들은 노래를 바탕으로 한 주크박스 뮤지컬에 주로 캐스팅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가수 양파(이은진)와 손승연은 오는 12월 15일 아시아에서 초연되는 뮤지컬 ‘보디가드’의 주인공 레이철 마론 역에 낙점됐다. ‘보디가드’는 1990년대 선풍적인 인기를 끈 휘트니 휴스턴, 케빈 코스트너 주연의 동명 영화를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2012년 영국 웨스트엔드에서 초연됐다.

이 작품은 ‘아이 윌 올웨이스 러브 유’(I will always love you), ‘런 투 유’(run to you), ‘아이 해브 나싱’(I have nothing) 등 휘트니 휴스턴의 명곡들이 극을 이끌어 가는 만큼 가수의 가창력이 상당히 중요하다. 현재 런던에서도 주말마다 웨스트엔드의 최고 스타인 베벌리 나이트가 레이철 마론 역으로 출연 중이다.

양파는 고교생 시절인 1996년 ‘애송이의 사랑’으로 데뷔해 최근 ‘나는 가수다’ 등을 통해 탄탄한 가창력을 인정받았다. 그간 뮤지컬 출연 요청을 고사했던 그는 이 작품으로 뮤지컬 배우로 데뷔한다. 그는 “휘트니 휴스턴의 노래를 들으며 가수의 꿈을 키웠는데 ‘보디가드’를 하지 않으면 후회할 것 같았다”고 출연 동기를 밝혔다. 2012년 엠넷 ‘보이스 코리아’에서 우승한 뒤 KBS ‘불후의 명곡’ 등에 출연해 가창력을 인정받은 손승연도 이 작품이 첫 뮤지컬 무대다. 제작사인 CJ E&M은 안정적인 고음과 다양한 장르를 소화한다는 점을 캐스팅 이유로 꼽았다.

이미지 확대
‘더 언더독’ 이태성
‘더 언더독’ 이태성
이미지 확대
‘보디가드’ 박성웅
‘보디가드’ 박성웅
●배우들 초연무대로 활동영역 키워

영화배우와 탤런트의 뮤지컬 무대 도전도 계속되고 있다. 탤런트 이태성은 오는 12월 2일 대학로 유니플렉스에서 초연되는 창작 뮤지컬 ‘더 언더독’으로 데뷔 이후 첫 뮤지컬에 도전한다. 이 작품은 자신이 버려진 이유를 찾는 것이 삶의 목적이 된 진돗개와 각기 다른 사연을 지닌 개들이 함께 아픔을 치유하고 새로운 삶을 꿈꾸는 과정을 그린다. 이태성은 주인에게 버려져 유기견이 된 진돗개 역할을 맡는다.

영화 ‘인천상륙작전’, ‘검사외전’ 등에 출연했던 배우 박성웅은 뮤지컬 ‘보디가드’에서 경호원 프랭크 파머 역으로 뮤지컬 배우로 데뷔한다. ‘신사의 품격’ 등에 출연한 탤런트 이종혁도 같은 역할에 더블 캐스팅 됐다.

●대중 호감 키우려면 스타마케팅 필요

일각에서는 스타 마케팅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이는 활동 영역을 넓히려는 연예인과 대중적 호감도와 인지도를 높이려는 업계의 니즈가 맞물린 결과라는 시각이 더 크다. CJ E&M의 박종환 팀장은 “뮤지컬의 경우 가창력이 중요한데 배우 후보군이 넓지 않아 최근 대중 가수들의 무대 진출이 늘고 있다”면서 “가수나 배우들도 노래와 연기에 대한 철저한 오디션을 거치고 있고 대중에게 공연이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6-10-17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