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년 넘게 따로 놀았던 예수 그림을 하나로 묶어 보니

500년 넘게 따로 놀았던 예수 그림을 하나로 묶어 보니

임병선 기자
입력 2018-12-09 13:02
업데이트 2018-12-09 13: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 국립미술관 제공
영국 국립미술관 제공
지난 6일 밤(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국립미술관을 찾은 미술사학자 윌 곰퍼츠는 르네상스 화가 안드레아 만테냐(1431~1506년)의 작품 둘을 한 자리에서 관람한 잔상을 쉽게 떨쳐내지 못했다. 곰퍼츠는 국내에도 ‘발칙한 현대미술사’ 등 여러 저서가 번역 소개됐다.

만테냐는 ‘예수의 승천’ ‘카를로 데 메디치의 초상’ ‘암굴의 성모자’ 등으로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과 거의 맞먹는 예술가로 평가된다.
두 작품은 지난 500년 동안 한 번도 한 자리에서 전시된 적이 없었다. 둘은 함께 전시됐을 때만 예수의 십자가 처형 직후 모습을 온전히 드러낸다. 아래 판넬화가 ‘연옥에 떨어진 그리스도(The Descent of Christ into Limbo)’, 위 작품은 ‘2부, 그리스도의 부활(Part Two, The Resurrection of Christ)인데 모두 그의 1492년 작품이다.

모두들 두 작품이 한 작품의 부분일 뿐이란 점을 알고 대단히 흥분했지만 솔직히 두 작품은 조금 기묘한 조합으로 읽힌다. 위 작품은 그리스도가 온몸을 깨끗이 씻은 듯 연옥에서 나오지만 오히려 그의 발 아래 인물들이 오히려 중심 인물처럼 여겨진다. 밝은 오렌지색 상의와 무릎 길이 양말도 조금 엉뚱하게 눈길을 붙든다.

반면 아래 작품은 절대금주주의자들의 연례 집회처럼 냉정을 잃지 않으며 그리스도의 헐거워 보이는 옷자락과 빛바랜 붉은 색 의상도 전체적으로 색감이 조화롭다. 두 작품이 워낙 대조적이어서 한 작가의 작품으로 여겨지지 않는 이유다. 위 작품이 500년 동안 잘 보존된 반면 아래 것은 여러 주인의 손을 탄 것도 작용한다.

특히 위 작품은 만테냐보다 덜 숙련된 다른 시대 작가의 것으로 여겨졌다. 20세기 초에 그 역시 만테냐의 작품으로 공인받았을 때조차 큐레이터들은 문하생의 작품 아니면 아들 중 한 명의 작품, 그것도 아니면 아예 훗날의 모조품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받았다.

그러나 이런 견해들은 연초 이탈리아 베르가모의 아카데미아 카라라에서 큐레이터로 일하는 지오반니 발라구사가 갤러리의 리모델링 와중에 이 작품을 오래 들여다보고 그림 밑바닥의 십자가 윗 부분을 주목하면서 완전히 바뀌었다.
발라구사는 터널이나 동굴 입구를 묘사해 제대로 색깔을 표현하지 않아 사랑받지 않은 이 그림이 더 큰 그림의 한 부분일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는 개인 소유였던 ‘연옥’과 맞춰본 결과 맞다는 걸 직감했다. ‘부활’ 속 그리스도의 왼손이 붙든 지팡이의 윗쪽이 그려지지 않았는데 ‘연옥’의 붉은색 옷을 입은 이의 지팡이 맨위에 달린 작은 십자가와 정확히 일치했다. 이렇게 해서 두 작품은 하나의 큰그림을 구성하는 것이란 결론이 내려졌다.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포플라 나무 파넬에 에그 템페라(egg tempera)로 그렸으며 작가가 이 지방의 실력자인 곤자가 가문의 궁정 화가로 50년 살았던 이탈리아 북부 만투아의 두칼 궁전 성당에서 한번에 그린 작품이란 결론으로 이어졌다. 이곳에서 멀지 많은 파두아에서 문맹인 목수를 아버지로 둔 만테냐는 나중에 스스로 설계한 멋진 집에서 평생을 살 정도로 신분 상승을 이뤘다.

곰퍼츠는 이날 처음으로 두 작품을 한데 모아 전시한 것을 관람했는데 기묘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프레임부터 어울리지 않았다. 여전히 아래 것은 대단히 좋은 작품처럼 보이고 위엣것은 뭔가 부족하고 촌스러워 보이는 것이다. 그는 “작품은 별 다섯인데 전시는 별 셋”이라고 꼬집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