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에서 만나는 콩순이, 어른들도 감동할 겁니다”

“극장에서 만나는 콩순이, 어른들도 감동할 겁니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1-05-06 15:37
업데이트 2021-05-06 15: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극장판 콩순이: 장난감나라 대모험’
제작 주역 변권철 대표, 이선명 감독
2014년 이후 TV에서 승승장구 ‘콩순이’
스크린에선 사랑과 우정, 포용 담아

이미지 확대
TV 시리즈를 영화화한 ‘극장판 콩순이: 장난감나라 대모험’ 제작자 변권철(왼쪽) 스튜디오 모꼬지 대표와 이선명(오른쪽) 감독은 이번 영화에 대해 “창사 이후 첫 영화 작품이라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애착이 크다”고 밝혔다.  스튜디오 모꼬지 제공
TV 시리즈를 영화화한 ‘극장판 콩순이: 장난감나라 대모험’ 제작자 변권철(왼쪽) 스튜디오 모꼬지 대표와 이선명(오른쪽) 감독은 이번 영화에 대해 “창사 이후 첫 영화 작품이라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애착이 크다”고 밝혔다.
 스튜디오 모꼬지 제공
국산 완구 캐릭터 ‘콩순이’를 주인공으로 한 애니메이션 ‘극장판 콩순이: 장난감나라 대모험’이 어린이날 개봉했다. TV 시리즈가 마니아층의 충성도를 가늠한다면 극장판은 대중적 파급력을 확인할 척도다.

TV에서 승승장구한 콩순이를 극장으로 옮긴 이는 변권철(39) 스튜디오 모꼬지 대표와 이선명(46) 감독이다. 최근 온라인으로 만난 변 대표와 이 감독은 “10년 넘게 ‘국민 여동생’으로 사랑받아 온 콩순이가 한없이 어린 존재로 여겨졌지만, 이제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줘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도 서로의 존재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갖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완구 브랜드 영실업에서 1999년 탄생한 콩순이는 2014년부터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제작돼 6기까지 이어졌다. 애니메이터 출신으로 작업을 총괄한 변 대표는 “2014년 콩순이가 TV에 처음 나왔을 때의 아동들이 이제 초등학생이 돼 본격적으로 극장에서 영화를 즐길 시기가 됐다”고 말했다. 연출을 맡은 이 감독은 “극장판의 해상도가 TV 시리즈보다 4배 높다는 기술적 강점 이외에 우리에게 익숙한 현실에 기반을 둔 이야기를 다룬다는 점이 공감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극장판 콩순이: 장난감나라 대모험’ 스틸 컷 스튜디오 모꼬지 제공
‘극장판 콩순이: 장난감나라 대모험’ 스틸 컷
스튜디오 모꼬지 제공
콩순이는 장난감 가게에서 새 장난감만 보면 사 달라고 조른다. 하지만 엄마는 집에 있는 수많은 장난감을 들어 이를 거절하고, 불만이 가득한 콩순이에게 ‘해피’라는 원숭이 로봇 장난감이 나타난다. 콩순이가 아끼는 인형 ‘토토’를 주면 새 장난감들을 준다는 ‘해피’의 제안을 받자 콩순이의 가족이 사라지는 등 시련을 겪는다. 영화는 이런 콩순이의 모험담이다.

이 감독은 “‘해피’는 장난감이지만,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남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들을 상징한다. 이들을 포용하자는 메시지를 던지고자 했다”며 “뽑기 기계나 돼지 저금통, 오뚝이 등 어른들도 익숙한 장난감을 소재로 사용해 향수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애니메이션은 NG가 나면 제작비 부담이 많이 늘어나 시나리오부터 초기 기획이 탄탄하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변 대표는 2016년 공룡과 로봇을 결합해 중국 시장에서 인기를 끈 ‘고고다이노’ TV 시리즈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콩순이는 2009년 창사 이후 첫 영화 작품이라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애착이 크다. 특히 국내 극장용 애니메이션 산업은 제작비만 수십 배 차이 나는 할리우드와 정면 승부를 겨루기 어렵다. 변 대표는 “아직 스타트업 수준이지만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해 해외에서 인정받을 기회가 점점 커지고 있다”며 “고고다이노를 통해 중국에서 꾸준히 인지도를 쌓은 만큼 ‘K애니메이션’의 저력은 충분하다”고 자신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