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54>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54>

입력 2013-06-13 00:00
업데이트 2013-06-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말이야 옳았지만, 비가 내리는 바위틈에서 까닭 없이 야숙하는 판국에 잠이 올 리 만무였다. 잠이 오지 않았으니 가슴속은 써늘하게 식어왔다. 고달프게 살아온 풍진 세월이 뇌리 속으로 뭉클뭉클 집혀왔다. 아리고 쓰린 감회가 비바람 소리와 함께 가슴속을 핥고 지나갔다. 기진했던 삶의 편린들이 뼛속으로 고스란히 전달되면서 잠은 저만치로 달아나고 육신은 한속으로 사시나무 떨듯 하였다. 이튿날 새벽 그들은 연기가 나지 않는 싸리나무를 꺾어 지은 수수밥을 손바닥으로 받아 구렁이 개구리 녹이듯 순식간에 삼키고 나서 다시 길을 재촉하였다. 당도한 곳은 밤새웠던 토굴에서 엎어지면 코 닿을 자리인 한나무재 계곡이었다. 울진 흥부에서 내성 쪽으로 가다 보면 만나는 한나무재는 왼쪽으로 통고산 노루막이가 아스라이 바라보이고 오른쪽으로는 높다란 응봉산 능선이 버티고 있다. 그래서 한나무재는 십이령 중에서도 숨이 탁 막힐 정도로 깊은 산진수궁(山盡水窮)이었다.

그런데 한나무재 계곡에 당도한 그들은 어찌된 셈인지 잠행을 멈추고 일곱 사람 모두가 스스럼없이 모습을 드러냈다. 계곡의 너른 바위에 자리를 잡은 곽개천은 사위를 꼼꼼하게 살펴보았다. 그의 시선이 한곳에 머물렀다. 계곡 바로 곁 가풀막진 산비알 아래로 오종종하게 붙어 있는 다랑논이 바라보였기 때문이다. 하늘의 처분만을 기다리는 그들 다랑논은 밤새 내린 비로 축축하게 젖어 있었지만 오랫동안 경작하지 않은 묵정논이었다. 뿐만 아니었다. 다랑논 한 귀퉁이에 추녀가 땅에 질질 끌리도록 쓰러진 움막집 하나가 보였는데, 역시 버려진 움막이었다. 일행은 그 움막에서 이틀 밤을 보냈다. 그들이 그 움막을 엄폐물 삼아 은신했던 것은 그 산기슭이 십이령 중에서도 가장 인적이 없어 짐승들만 다니는 길목으로 소문나 있었고, 길손들이 봇짐을 털린 곳은 통고산과 응봉산 사이에 있는 계곡 길이었다는 것을 여러 번 들었기 때문이다.

과연 곽개천의 짐작은 제대로 맞아떨어졌다. 이틀 밤을 지새우고 사흘째 되던 날 아침 선반머리였다. 통고산 마루에 당보수(塘報手)로 내보냈던 행중이 움막으로 숨차게 뛰어들었다. 통고산 벼랑길로 여섯 명의 장정들이 계곡길을 겨냥하고 내려오는 낌새를 목격한 것이었다. 그 길로 내려온다면 필경 내왕이 빈번한 한나무재길을 거치지 않을 수 없었다. 길이 아닌 길을 선택한 것과 등짐이나 괴나리봇짐조차 걸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산적일시 분명했다. 버려진 다랑논을 경작하려는 농투성이는 더욱 아니었다. 그러나 한 가지 염려스러운 것이 있었다. 그들의 본색이 산적이 분명하다 할지라도 행중이 매복하고 있는 움막 앞은 지나간다는 보장이 없었기 때문이다. 곽개천이 당보수로 나갔던 행중에게 물었다.

“병장기를 지녔던가?”

“멀리서 지켜보았기 때문에 적실치는 않으나, 몸에 지닌 병장기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품속에 감추었을 테지. 이곳까지 당도하자면 얼마나 걸릴까?”

“산속 치받이길인데도 상단에 버금갈 정도로 걸음이 매우 빨랐습니다.”

“저들을 유인해야 하네. 솔가지로 불을 피워서 연기가 산기슭을 타고 오르도록 하게. 이 계곡 길에 사람이 있다는 것을 눈치채게 만들어야 저들이 다른 길목으로 빠지지 않고 곧장 이 계곡 길로 들어설 것이야.”

2013-06-1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