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57>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57>

입력 2013-06-18 00:00
업데이트 2013-06-18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어떤 자는 삭은코를 맞아 코피가 오지랖을 적시고 있었고, 어떤 자는 얼굴이 외꽃처럼 노래져 염병 앓고 난 사람처럼 피골이 상접하였다. 또 다른 자는 눈구멍이 푹 꺼져서 쭉정이처럼 누렇게 들떠 있기도 하였다. 입성은 그렇다 해도 섭생조차 여의치 못했다는 것을 그 남루한 행색이 증거해 주는 셈이었다. 소금 상단 일행의 피해도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일행이 산적들을 육단시키고 포박하여 가다듬고 계곡을 내려올 때였다. 곽개천을 뒤따라오던 동무 중 한 사람이 바로 앞을 걸어가는 곽개천의 걸음걸이가 온전치 못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다리를 절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옹구바지 왼쪽 가랑이 아래가 막 피에 젖어가는 것을 발견한 것이었다. 그는 냉큼 앞으로 다가가 곽개천에게 귀엣말로 속삭였다.

“공원 어른, 시생의 등뒤로 오시지요. 긴히 드릴 말이 있습니다.”

곽개천이 힐끗 일별하는데, 벌써 안색이 질려 있었다.

“왜 그러나?”

동무가 그의 바짓가랑이를 손으로 가리켰다. 그러나 뜨끔할 줄 알았던 곽개천은 아무렇지도 않은 듯 한마디 뇌까렸다.

“내가 주책바가지였군. 창졸히 설치다가 칼 맞은 것을 미처 깨닫지 못했네. 당장 지혈하고 뒤따라갈 테니, 임자들은 입도 뻥긋하지 말고 저놈들을 잡도리해서 끌고 가게. 만에 하나 내가 칼 맞은 것을 눈치채면, 되려 우릴 어육지변시키려고 덮칠지도 모를 일이야. 모두 양식 전대들 풀어서 두벌 결박을 모양 있게 지우고. 잠시 쉴 적에도 경계를 엄중히 하게.”

“염려 마시고 지혈이나 시키지요.”

한나무재 계곡을 잠행하던 산적 여섯이 육고기가 꿀 바른 비상인 줄 모르고 덧들이다 신세가 고단하게 된 그 시각에, 정한조가 이끄는 소금 상단 아홉은 내성 쪽으로 가고 있었다. 그들 행중 뒤에는 이틀간의 터울을 두고 또 다른 상단이 뒤따르기로 되어 있었다. 그들보다 먼저 발행한 정한조 일행은 넓재에서부터 계속 내리받이길을 걸어 아침 선반머리에 회룡천과 마주쳤다. 당나귀가 셋에 일행이 아홉이나 되었으니, 상단치고 규모가 적은 편은 아니었다. 상단의 행수는 정한조였다. 회룡천 가녘을 따라 한식경을 가면 코치비재를 지나 내성 땅인 곧은재 독자골 초입에 이르게 된다. 이 독자골 내리막길에서 다시 낙동강의 상류인 분천(汾川)과 만나는데, 이 분천이 울진에서 시작된 십이령길에서 유일하게 나룻배로 건너야 하는 길목이었다. 비가 많이 내려 수심이 깊지 않을 때는 여울목을 골라 건널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일행의 물화가 소금섬이라 무작정 물길로 들어섰다간 큰 낭패를 볼 수 있었다. 때문에 도끼로 절벽을 까고 낸 벼룻길과 서까래로 잇댄 잔도를 따라 곧은재 아래까지 걸어야 했다. 가파르지는 않지만 사람이 걸음을 옮겨놓을 길폭이 손바닥만 한 크기를 넘지 못해 가슴으로 바위를 부둥켜 안다시피 하면서 걸어야 하기에 제아무리 간담 드센 장정이라 하더라도 두 다리가 바들바들 떨리는 험로였다.

2013-06-18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