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문학 멋과 맛 만끽 ‘페르시아어 시집’ 출간

이란 문학 멋과 맛 만끽 ‘페르시아어 시집’ 출간

입력 2010-02-13 00:00
업데이트 2010-0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TV 뉴스 시간에 앵커는 시(詩) 한 수를 읽고 뉴스를 진행한다. 일자무식 노인네도 어지간한 시 몇 편을 줄줄이 암송한다. 극장에서 시 낭송회가 열리는 날이면 일찌감치 입장권은 매진된다. 대부분 역사와 전설, 신화는 시 형식으로 기록된다.

시인 신동엽이 ‘산문시1’에서 노래했던, 꿈같이 바라는 세상의 한 부분인 듯도 하고, 판타지 소설에서 나올 법한 상황인 듯도 하다. 하지만 이란에서 이것은 엄연한 현실이다.

한때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유럽 등 여러 대륙을 누비던 페르시아 제국은 이제 과거의 영화(榮華)를 신비로운 역사와 전설, 신화 속에만 남겨놓고 기억하고 있다. 얼핏 서사(敍事)의 문학이 훨씬 더 강할 듯하지만 천 수백년 전 제국의 언어는 주로 시(詩) 형태로 남겨졌다. 서사적인 역사 등의 기록까지 시를 통해 기록할 정도였으니 ‘시의 나라’로 불러도 지나침이 없을 듯하다.

이란 문단이 내세우는 대표적인 시인 18명의 삶과 작품을 소개한 시집 ‘페르시아어 시집’(김정위·파테메유세피 옮김, 지식산업사 펴냄)이 나왔다. ‘최초의 근대 페르시아어 작가’로 꼽히는 루다키부터 국내·외에서 칭송받는 사디, 페르시아 문학이 기억한 최초의 여류 시인 자한 말렉 하툰, 이란의 혁명 시인 포루그 파로흐자드까지 고전시부터 현대시까지 모두 아울렀다. 찬찬히 손가락으로 짚어가며 읽다 보면 시의 정서가 상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디의 시편 중 ‘…// 낟알 나르는 개미 괴롭히지 말아요/ 그도 혼 있어 달콤하고 좋아요// 약한 자엔 뽐내며 으스대지 말아요/ 언젠간 너도 개미같이 발밑에 매달리지요//’와 같은 정서는 상대적인 관계에 대한 통찰을 엿보게 한다. 문득 안도현이 일갈했던 시 ‘연탄재’가 떠오르기도 한다.

사디의 또다른 시의 한 구절 ‘한 뿌리에서 인류는 나왔지’는 국제연합(UN) 건물에 걸려 있다. 공간과 시간을 뛰어넘는 범인류적 정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루다키의 4행시 중에는 사랑하는 이가 떠난 상황을 떠올리며 ‘…/ 너는 수십만 적군보다 밉지만/ 내 목숨보다 널 더 사랑하지’라고 처절한 원망과 그리움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딱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라고 했던 김소월 아닌가.

김정위 한국외국어대 이란어과 명예교수는 “그간 이란의 역사나 정치, 경제 등을 연구해왔지만, 오래 전부터 페르시아어 문학의 멋과 맛을 먼저 만끽한 사람으로서 국내에도 이를 알려야 한다는 야릇한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면서 페르시아어 시집을 번역한 배경을 설명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2-13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