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풋한 작가들의 재기넘치는 단편들

풋풋한 작가들의 재기넘치는 단편들

입력 2012-02-25 00:00
업데이트 2012-02-25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2 젊은 소설】 이은선 등 10명 지음/문학나무 펴냄

T나라에서 온 ‘나’는 P에서 말을 가르친다. P사람들은 꿈을 갖고 T로 떠나지만 매를 맞고, 또는 나이 많은 남자와 결혼했다가 돌아온다. 눈 속에 파묻힌 피투성이인 ‘너’. 피가 멎고, 근육이 경직되고, 몸이 얼어간다.

젊은 작가 이은선(서울신문, 2010년 등단)의 ‘발치카 no. 9’는 독특하다. 한 사람의 ‘나’와 ‘너’가 9개 절을 거치며 시점을 뒤바꿔 이야기한다. P는 어디고, 무슨 일이 일어났나. 머리를 굴리다 보면 어느새 서늘함이 번진다.

배상민(신인문학상, 2009년 등단)의 ‘추운 날의 스쿠터’는 묘하게 닮은 반대 상황이다.

배달 오토바이를 훔쳐 잡혀 온 미국인 두 명은 경찰관에게 욕을 날리고, 경찰관이 오히려 울상이다. 이 상황을 지켜본 ‘나’, 피자 배달원이 통역을 시도했다. 사연인즉슨, 미국에서 피자 배달원으로 일하다가 ‘미국이라면 환장하는 한국’에 일자리를 찾아왔단다. 한·미 양국의 피자 배달원이 묘한 동질감을 느낄 때쯤 어느새 입가에 미소가 번져 있다.

‘2012 젊은 소설’(문학나무 펴냄)에는 등단 3년차 이내의 작가들이 문학지에 소개한 작품들을 엄선한 단편 10편이 묶여 있다.

김엄지(문학과사회, 2010)의 ‘기도와 식도’, 박솔뫼(신인문학상, 2009)의 ‘그럼 무얼 부르지’, 백수린(경향신문, 2011)의 ‘밤의 수족관’, 손보미(동아일보, 2011)의 ‘그들에게 린디합을’, 임성순(세계문학상, 2010)의 ‘인류 낚시 통신’, 정용준(현대문학, 2009)의 ‘사랑해서 그랬습니다’, 천정완(창비신인소설상, 2011)의 ‘팽-부풀어 오르다’, 최민석(창비신인소설상, 2010)의 ‘부산말로는 할 수 없었던 이방인 부르스의 말로’ 등 경력으로는 아직 풋풋한 작가들의 재기가 녹아든 단편을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2-25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