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놈의 ‘네 탓’… 야권 참패 불렀다

그놈의 ‘네 탓’… 야권 참패 불렀다

입력 2013-02-02 00:00
업데이트 2013-02-0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증오 상업주의/강준만 지음, 인물과 사상사 펴냄

누워만 있어도 잘 익은 권력이 입안으로 똑 떨어질 것 같았다. 현 정부와 여당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감이 높았고, 야권의 두 잠룡이 힘을 합치기까지 했다. 그런데도 다 잡았다고 생각했던 권력이 눈앞에서 사라졌다. 기가 찰 일이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멘붕’(멘털 붕괴) 상태로 있을 순 없다. 먼저 패인을 분석하는 게 순서다. 대처방안은 이후의 문제다.

강준만 전북대 교수가 쓴 ‘증오 상업주의’(인물과 사상사 펴냄)는 바로 이 부분에 대해서 충실하게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와 출판사는 “한국의 양극화된 정치 현실과 함께 한국 사회가 타파해야 할 대상으로 꼽히는 ‘증오’란 과연 무엇이며 정치권과 언론에서 어떻게 생산되고 유통되는지를 분석한 결과물”이라고 책의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곰곰 들여다보면 지난 18대 대선에서 민주당과 문재인, 그리고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왜 패했는지를 돌이켜 보고, 차기 대선에 안 전 교수가 출마한다면 어떤 전략과 스탠스를 가져야 하는지를 에둘러 충고하려는 의도가 다분해 보인다.

강 교수는 지난 대선에서 야권이 패한 가장 큰 이유로 “선악 이분법 구도로 전략을 짠 것”을 꼽았다. ‘증오 상업주의’란 뭔가. 선악 이분법으로 대중의 증오를 일으켜 물건을 파는 것을 뜻한다. 우리의 경우 보수와 진보 간 경계가 갈수록 명확하게 갈리고 있다. 이런 상황이면 더 쉽다. 나와 다른 경계에 선 사람을 증오하도록 슬슬 부추기기만 해도 물건은 팔린다. 강 교수가 현재의 한국 언론을 보는 틀도 이와 흡사하다.

그런데 문제는 민주당과 진보진영에서 이 ‘증오 상업주의’를 정치 동력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민주주의에서 선거란 “우리 편이 질 수도 있다는 걸 전제”해야 하는데, ‘우리 편’이 지는 것은 천사가 악마에게 지는 것처럼 간주하는 사고방식을 지닌 이들이 당권과 언로를 장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의 치명적인 단점은 자기 성찰이 없다는 것, 또 모든 잘못의 원인을 자기 밖에서 찾는다는 것이다. 국민들이 보기엔 그들이나 그들과 대척점에 선 사람들이나 별반 다르지 않은데 말이다. 강 교수는 그렇기 때문에 ‘국민의 절반을 절망시키는 정치’를 끝내겠다고 공언한 안 전 교수가 진보·보수 양 진영에서 모두 비판받았다고 본다. 증오 전쟁을 벌이면서 ‘적대적 공존 관계’를 형성한 양 세력이 ‘안철수 죽이기’에 나섰다는 얘기다. 저자는 안 전 교수의 대선 재도전 여부도 결국 민주당이 ‘증오 상업주의’를 넘어설 수 있을지 여부와 연계돼 있다고 진단한다. 1만 3000원.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02-02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