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시마 겪은 日서 원전사고 왜 일어났을까

히로시마 겪은 日서 원전사고 왜 일어났을까

입력 2013-03-09 00:00
업데이트 2013-03-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쿠시마 이후의 삶/한홍구 서경식 다카하시 데쓰야 지음, 반비 펴냄

우리에게 ‘원전’이란 과연 무엇일까. 꼭 필요한 존재일까 아니면 대재앙을 불러일으키는 절대악일까. 2011년 3월11일의 동일본 대지진, 그러니까 3·11 사고가 일어난 지 꼭 2년이 됐다. 자연재해로 시작된 원전 사고의 큰 재앙은 전 세계에 큰 충격과 공포를 안겨줬다. 사건 직후 전세계에서 탈핵을 부르짖는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세월이 지나면서 원전 재개를 꾀하려는 이른바 ‘원자력 마피아’들의 공세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는 한편 후쿠시마 이후의 삶에 대해서는 조금씩 관심에서 사라져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서 역설적인 질문 하나를 던져본다. ‘히로시마를 겪은 일본에 왜 후쿠시마 사고가 일어났나’라고 말이다.

신간 ‘후쿠시마 이후의 삶’(한홍구·서경식·다카하시 데쓰야 지음, 이령경 번역, 반비 펴냄)은 이러한 문제를 예리하게 파헤친다. 후쿠시마 이후 우리 삶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어야 할 만큼의 파급력이 큰 사건을 진지하게 다루고 있는 것. 이 책은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실천적 지식인 세 사람이 원전 사고 이후 3개월이 지난 2011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약 2년 동안 지속적으로 만남을 가지면서 이 사건의 의미와 파장, 이후의 미래를 심도 있게 논의해온 과정을 써 나가고 있다.

후쿠시마 현지는 물론 스리마일 섬과 히로시마 피폭자, 또 원전문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기지문제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제주 강정마을, 오키나와까지 주요 현장을 직접 답사하면서 좌담을 한 내용을 후쿠시마 사고발생 2년을 맞아 이번에 책으로 풀어냈다.

비록 전문가들은 아니지만, 핵 문제의 해결을 이른바 전문가 집단에만 맡겨두어서는 안 된다는 절박한 마음에서 책을 쓰게 됐다고 서문에서 밝혔다. 따라서 핵무기가 사용되는 형태이든, 핵 발전소에서 발생한 심각한 사고이든 간에 일단 문제가 터지면 그 피해를 당하는 것은 소수의 전문가 집단이 아니라 광범위한 대중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핵무기와 핵발전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목소리는 대중 속에서 더 많이, 더 크게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핵 문제의 결정권은 주권자인 시민이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20세기 동아시아의 현대사를 되짚어보면서 한국과 일본의 정치적 흐름,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한·미·일 동맹의 방향, 원전과 기지문제의 공통성, 원전과 윤리, 나아가 일본 천황제 및 평화 헌법과 원전의 관계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원전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1만 5000원.

이와 관련해 추가로 읽을만한 책은 ‘동일본대지진과 핵재난’(고려대 출판부 펴냄) 시리즈 12권이다. 와세대 대학 출판부의 ‘진재(震災) 후에 생각하다’ 총서를 기반으로 했다. 각권 7000~9000원.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3-03-09 2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