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책꽂이]

입력 2013-03-30 00:00
업데이트 2013-03-30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몸젠의 로마사(테오도르 몸젠 지음, 김남우·김동훈·성중모 옮김, 푸른역사 펴냄)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이야기’ 때마다 비교 대상으로 떠오르는 책이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쇠망사’와 190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이기도 한 이 책, 테오도르 몸젠의 ‘로마사’다. 시오노 나나미는 몸젠이 카이사르 이후의 로마사를 더는 자세히 쓰지 않은 것에 대해 워낙 위대한 인물인 카이사르를 다루고 나니 그 이후엔 김새서 쓰기 싫었던 모양이라고 제멋대로 카이사르 사생팬다운 해석을 내렸다. 하지만, 몸젠이 실제 그렇게 한 이유는 통일된 민족국가의 형성이라는 관점으로 로마사를 들여다봤고 그 민족국가가 정점으로 치달아 마침내 썩어 문드러지기 시작하게 된 시점을 카이사르의 군사독재라 봤기 때문이다. 어느 해석이 옳은지 직접 확인해볼 기회다. 총 10권 분량으로 출간될 예정으로 이번에 나온 것은 1권 ‘로마 왕정의 철폐까지’다. 2만원.

권력의 투사법(로버트 엔트만 지음, 안병규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대중 매체 연구에서 빠질 수 없는 프레임 이론의 주창자가 쓴 책이다. 정치학, 인지심리학에 바탕을 둔 정치커뮤니케이션 이론답게 미국의 주요한 정치적 이슈가 어떻게 프레이밍화되어 대중들에 전달되는지, 그리고 그 메커니즘을 활용해 어떻게 건전한 공론장을 만들어낼 것인지를 분석했다. 3만 1500원.

코리언 미러클(육성으로듣는경제기적편찬위원회 지음, 나남 펴냄) 한강의 기적이라는 박정희 시대 경제개발에 대한 육성보고서다. 진념 전 부총리를 편찬위원장으로 하는 8명의 편찬위원, 강경식 전 부총리 등 8명의 자문위원 간 논의를 거쳐 개발경제시대 관료와 주변인물들에 대한 증언을 채록했다. 증언이 옛이야기체다 보니 별다른 배경지식 없이도 술술 재미나게 읽힌다. 다만, 편찬·자문위원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개발경제 과정을 테크노크라트의, 그것도 경제기획원 엘리트 경제 관료 위주로만 설명하고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3만 5000원.

일본의 역사관을 비판한다(미야지마 히로시 지음, 창비 펴냄) 제목과 저자만 봐서 일본 보수역사가들을 비판한다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오히려 진보역사가들 비판에 몰두했다. 이유는 근대 시기 일본의 제국주의적 해악을 비판한다는 점에서는 진보적이지만, 그 진보사관에 매몰되어 그 자신들도 모르게 봉건제론이나 근세론 등에서 보수 역사가들과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저자는 한국사를 연구하다 보니 일본사가 새롭게 보였다는 표현을 쓰는데 한번 일독해 볼 필요가 있다. 2만원.

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이희근 지음, 책밭 펴냄) 백정 하면 기피했던 천한 존재다. 저자는 백정의 뿌리가 패망한 거란족의 후예 같은 외래의 존재가 아닐까, 하는 가정을 제기한다. 해외에서 들어온 이들이었기에 짐승을 도축하고 사냥하는 업무를 맡긴 게 아니냐는 얘기다. 1만 6000원.

2013-03-30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